본문 바로가기
2009.04.30 22:33

디려놓곡 내여놓곡

조회 수 5684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디려놓곡 내여놓곡

고장말

‘-곡’은 표준어 ‘-고’에 대응하는 제주말이다. ‘-고’는 주로 두 가지 이상의 사실을 단순히 나열하거나(물이 맑고 차다), 어떤 한 사실이 후에 일어난 사실의 원인이 됨을 나타내는 말이다.(비가 오고 날씨가 추워졌다) 그런데 제주말에서는 앞쪽의 뜻으로만 ‘-곡’이 쓰인다는 점이 표준어의 ‘-고’와는 다르다. “그놈들이 다 물러가면 우리대로 잘 살곡 마음대로 해산물도 잡앙 팔곡 헐 수 있는 거 아닙니까.”(<껍질과 속살> 현길언) “너의덜 말을 들어서 오라민 오곡 가라민 갈 것이냐!”(<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제주말 ‘-곡’은 이미 500여 년 전인 15세기에서부터 쓰이던 말로, 현대에 와서는 오로지 제주 지역에서만 살아남은 고장말이 되어버렸다. 15세기 당시 ‘-곡’은 ‘-고’를 강조하여 말할 때 쓰는 말이었다고 한다. “어마니미 니D샤Q 너희 出家N거든 날 F리곡 머리 가디 말라.”(<석보상절>)

표준어 ‘-고’에 대응하는 또다른 고장말은 ‘-구’이다. ‘-구’는 ‘-고>구’와 같은 변화를 겪은 고장말인데, ‘-고>구’의 변화는 ‘삼촌’을 ‘삼춘’, ‘고모’를 ‘고무’라고 발음하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 ‘-구’는 제주도와 경상도, 전라도(전북의 전주 이북 지역 제외)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는 말이다. “처먹어라 … 너 생각허구서 배 고푼 것두 안 먹구 애꼈다가 갖구 왔다!”(<쑥국새> 채만식) “간밤에는 집을 비여놓구 친구허구 색주가엘 가서 술 먹구 기집 끼구 놀구 그랬으니까 …”(<속 천변풍경> 박태원)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0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60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571
2952 세금 폭탄 바람의종 2009.02.04 5518
2951 님, 임 바람의종 2008.10.22 5526
2950 도탄 바람의종 2007.06.27 5527
2949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28
2948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中) 바람의종 2008.06.22 5535
2947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605
2946 '이/가' '을/를' 바람의종 2009.03.27 5605
2945 다듬은 말 바람의종 2008.05.22 5630
2944 억수로 좋노? 바람의종 2009.08.27 5630
2943 보루 바람의종 2007.07.13 5635
2942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643
2941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8.08.27 5643
2940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47
2939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651
2938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1.12 5659
2937 사위질빵 바람의종 2008.03.10 5672
2936 반딧불이 바람의종 2008.09.07 5678
2935 더 이상 바람의종 2008.10.26 5679
» 디려놓곡 내여놓곡 바람의종 2009.04.30 5684
2933 공작 바람의종 2009.03.30 5689
2932 맨 처음, 맨손 바람의종 2008.12.07 5710
2931 바쁘다 바람의종 2008.03.28 57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