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14 04:21

비둘기

조회 수 6158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비둘기

짐승이름

어느 해 겨울이었다. 월출산 구림 마을 성기천 가에서 어여쁜 처자가 빨래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 뭔가가 자꾸 빨래에 와 부딪쳐, 처자는 기겁을 하며 방망이로 밀어낸다. 밀어내면 밀어낼수록 이상한 물체가 자꾸 달려든다. 호기심이 생긴 처자는 그것을 건져냈다. 커다란 오이였다. 먹음직스러워 별생각 없이 오이를 먹었다. 그날 이후 처자에게 태기가 있었고, 달이 차서 아이를 낳았다. 어이없고 부끄러운 일. 부모와 상의한 끝에 남몰래 뒷산 대밭에 아기를 버렸으나 어미 정을 어쩔 수가 없었다. 이레째, 처자는 남몰래 아기 버린 곳을 찾아갔다. 그런데 비둘기가 감싸고 학이 주는 먹이를 받아 먹으며 아기가 살아 있는 게 아닌가. 비로소 하늘이 내린 아기라고 깨달아 집으로 데려와 키웠다. 이 아이가 자라 신라 말 이름난 스님이자 학자였던 도선 국사가 되었다.

비둘기는 본디 ‘비다리’(弼陀里·계림유사) 혹은 ‘비두로기’(유구곡), ‘비두리’(월인석보)였다. 비두로기에서 소리가 줄어 비둘기가 되어 오늘에 쓰인다. 비둘깃과에 드는 새를 모두 일러 비둘기라 한다. 풀이에 따라서는 소리를 흉내낸 ‘비둘’에 뒷가지 ‘-이’가 붙어 된 말로 본다. 더러는 앞가지 ‘비’(非)에 ‘다라’(鷄·닭)가 붙어 이뤄진 말로 보기도 한다. 닭과 비슷하나 같지 않은 새들을 일러 비둘기로 불렀을 수도 있겠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7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2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170
1544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23
1543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27
1542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36
1541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39
1540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41
1539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43
1538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44
1537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49
1536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50
1535 바람의종 2007.09.22 9155
1534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9157
1533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58
1532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59
1531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61
1530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162
1529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62
1528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164
1527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169
1526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169
1525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71
1524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74
1523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1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