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14 04:21

비둘기

조회 수 6146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비둘기

짐승이름

어느 해 겨울이었다. 월출산 구림 마을 성기천 가에서 어여쁜 처자가 빨래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 뭔가가 자꾸 빨래에 와 부딪쳐, 처자는 기겁을 하며 방망이로 밀어낸다. 밀어내면 밀어낼수록 이상한 물체가 자꾸 달려든다. 호기심이 생긴 처자는 그것을 건져냈다. 커다란 오이였다. 먹음직스러워 별생각 없이 오이를 먹었다. 그날 이후 처자에게 태기가 있었고, 달이 차서 아이를 낳았다. 어이없고 부끄러운 일. 부모와 상의한 끝에 남몰래 뒷산 대밭에 아기를 버렸으나 어미 정을 어쩔 수가 없었다. 이레째, 처자는 남몰래 아기 버린 곳을 찾아갔다. 그런데 비둘기가 감싸고 학이 주는 먹이를 받아 먹으며 아기가 살아 있는 게 아닌가. 비로소 하늘이 내린 아기라고 깨달아 집으로 데려와 키웠다. 이 아이가 자라 신라 말 이름난 스님이자 학자였던 도선 국사가 되었다.

비둘기는 본디 ‘비다리’(弼陀里·계림유사) 혹은 ‘비두로기’(유구곡), ‘비두리’(월인석보)였다. 비두로기에서 소리가 줄어 비둘기가 되어 오늘에 쓰인다. 비둘깃과에 드는 새를 모두 일러 비둘기라 한다. 풀이에 따라서는 소리를 흉내낸 ‘비둘’에 뒷가지 ‘-이’가 붙어 된 말로 본다. 더러는 앞가지 ‘비’(非)에 ‘다라’(鷄·닭)가 붙어 이뤄진 말로 보기도 한다. 닭과 비슷하나 같지 않은 새들을 일러 비둘기로 불렀을 수도 있겠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1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615
2864 너도밤나무 바람의종 2008.01.22 6768
2863 알토란 같다 바람의종 2008.01.24 15873
2862 애가 끊어질 듯하다 바람의종 2008.01.24 10722
2861 황새울과 큰새 바람의종 2008.01.24 11174
2860 사촌 바람의종 2008.01.24 10299
2859 이마귀 바람의종 2008.01.24 9211
2858 액면 그대로 바람의종 2008.01.25 6955
2857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203
2856 어안이 벙벙하다 바람의종 2008.01.25 15890
2855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139
2854 개양귀비 바람의종 2008.01.25 7353
2853 듬실과 버드실 바람의종 2008.01.25 7641
2852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8.01.26 10119
2851 억지 춘향 바람의종 2008.01.26 10069
2850 여자 팔자 뒤웅박 팔자 바람의종 2008.01.26 15515
2849 형제자매 바람의종 2008.01.26 11380
2848 자욱길 바람의종 2008.01.26 11635
2847 뽑다와 캐다 바람의종 2008.01.26 8266
2846 오지랖이 넓다 바람의종 2008.01.27 14260
2845 이골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27 16682
2844 인구에 회자되다 바람의종 2008.01.27 13628
2843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89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