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13 03:29

삐라·찌라시

조회 수 6312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삐라·찌라시

외래어

신문·방송이 지금처럼 발달되지 못했을 때는 벽보가 관청이나 민간의 주된 홍보 수단이었다. 그것이 가장 기본적인 수단이라고 생각해서인지, 아니면 전통이 돼서인지 국회의원, 대통령 선거를 보더라도 아직 벽보가 꽤 중요한 구실을 한다. 그런데 더 널리 또는 시급하게 알려야 할 것은 자동차나 비행기가 벽보보다 작은 종이에 내용을 담은 이른바 ‘삐라’를 뿌려 알리기도 했다. 비행기가 뿌려서 하늘에서 펄럭이며 내려오는 삐라는 모처럼 구경거리를 연출하여, 철없는 아이들이 서로 더 많이 주우려고 난리법석을 떨기도 했다.

삐라와 비슷한 낱장 형태로 된 ‘찌라시’도 있다. ‘삐라’는 쓰인 지 꽤 오래 된 탓에 웬만한 국어사전에 실렸지만, ‘찌라시’는 요 근래에 들어온 말인지 국어사전에서 찾기 어렵다.

‘삐라’는 영어 ‘빌’(bill)이 일본말에서 ‘비라’(ビラ)가 된 다음, 우리말로 넘어와 다시 꼴이 바뀐 모습이다. 이는 주로 정치적인 선전문을 담는 것으로 여기는 듯하다. ‘찌라시’는 선전지나 광고지를 뜻하는 일본말 ‘지라시’(散(ち)らし)가 변한 말로서, 우리에게는 상업적인 광고를 담는 것을 뜻하는 쪽으로 한정되는 분위기다. 이와 달리 일본 사전에는 ‘비라’와 ‘지라시’를 거의 같은 뜻으로 풀이했다. ‘삐라’와 ‘찌라시’ 두 가지를 한꺼번에 일컫는 한자말은 ‘전단’(傳單)이며, 근래에는 ‘전단지’라고도 한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49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1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40
1742 사근사근하다 風磬 2006.12.26 8094
1741 사과의 법칙, ‘5·18’이라는 말 風文 2022.08.16 1174
1740 사겨, 사귀어, 부셔, 부숴 바람의종 2010.04.18 12116
1739 삘건색 바람의종 2010.06.08 9465
1738 삐지다, 삐치다 바람의종 2008.12.28 12096
1737 삐리라 바람의종 2009.07.16 8047
» 삐라·찌라시 바람의종 2009.04.13 6312
1735 삐라 바람의종 2008.02.15 5330
1734 삐까삐까 바람의종 2008.02.14 9465
1733 뿐만 아니라, 때문에 바람의종 2009.10.27 10477
1732 뽑다와 캐다 바람의종 2008.01.26 8339
1731 뽐뿌와 지르다 바람의종 2008.12.06 10342
1730 뽀록나다 바람의종 2009.03.17 8244
1729 뽀드락지 바람의종 2010.04.01 9915
1728 뽀개기 바람의종 2010.05.09 8465
1727 뻐꾸기 바람의종 2009.03.24 7132
1726 빼았기다 / 빼앗기다 바람의종 2011.11.15 11983
1725 빼도 박도 못한다 바람의종 2008.02.24 11670
1724 빼다 박다, 빼쏘다, 빼박다 바람의종 2010.03.06 12023
1723 빵꾸 바람의종 2009.02.02 8702
1722 빵, 카스텔라 바람의종 2008.11.18 6214
1721 빨치산 바람의종 2008.02.14 77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