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13 03:29

삐라·찌라시

조회 수 629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삐라·찌라시

외래어

신문·방송이 지금처럼 발달되지 못했을 때는 벽보가 관청이나 민간의 주된 홍보 수단이었다. 그것이 가장 기본적인 수단이라고 생각해서인지, 아니면 전통이 돼서인지 국회의원, 대통령 선거를 보더라도 아직 벽보가 꽤 중요한 구실을 한다. 그런데 더 널리 또는 시급하게 알려야 할 것은 자동차나 비행기가 벽보보다 작은 종이에 내용을 담은 이른바 ‘삐라’를 뿌려 알리기도 했다. 비행기가 뿌려서 하늘에서 펄럭이며 내려오는 삐라는 모처럼 구경거리를 연출하여, 철없는 아이들이 서로 더 많이 주우려고 난리법석을 떨기도 했다.

삐라와 비슷한 낱장 형태로 된 ‘찌라시’도 있다. ‘삐라’는 쓰인 지 꽤 오래 된 탓에 웬만한 국어사전에 실렸지만, ‘찌라시’는 요 근래에 들어온 말인지 국어사전에서 찾기 어렵다.

‘삐라’는 영어 ‘빌’(bill)이 일본말에서 ‘비라’(ビラ)가 된 다음, 우리말로 넘어와 다시 꼴이 바뀐 모습이다. 이는 주로 정치적인 선전문을 담는 것으로 여기는 듯하다. ‘찌라시’는 선전지나 광고지를 뜻하는 일본말 ‘지라시’(散(ち)らし)가 변한 말로서, 우리에게는 상업적인 광고를 담는 것을 뜻하는 쪽으로 한정되는 분위기다. 이와 달리 일본 사전에는 ‘비라’와 ‘지라시’를 거의 같은 뜻으로 풀이했다. ‘삐라’와 ‘찌라시’ 두 가지를 한꺼번에 일컫는 한자말은 ‘전단’(傳單)이며, 근래에는 ‘전단지’라고도 한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42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8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770
2864 대범한 도둑 바람의종 2009.07.16 6035
2863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036
2862 먹거리,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11.16 6036
2861 관해/대하여/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042
2860 벽창호 風磬 2006.11.30 6044
2859 사이소예 바람의종 2008.09.02 6063
2858 꽃무릇 바람의종 2008.04.21 6064
2857 다락밭 바람의종 2008.06.22 6072
2856 너한질라 바람의종 2008.12.10 6076
2855 요샛말로 … 바람의종 2008.06.23 6079
2854 대증요법 바람의종 2007.11.03 6080
2853 굴뚝새 바람의종 2009.07.08 6084
2852 애기똥풀 바람의종 2008.02.21 6086
2851 미망인 바람의종 2007.07.05 6096
2850 백병전 바람의종 2007.07.08 6097
2849 토씨의 사용 바람의종 2009.05.31 6098
2848 바람의종 2008.11.22 6105
2847 멍귀·귿환·머흘쇠 바람의종 2008.06.24 6110
2846 살쾡이 file 바람의종 2009.07.15 6110
2845 늦깎이 風磬 2006.11.06 6111
2844 두꺼비 바람의종 2009.09.06 6118
2843 덩어쇠 바람의종 2009.03.03 61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