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13 03:29

삐라·찌라시

조회 수 6331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삐라·찌라시

외래어

신문·방송이 지금처럼 발달되지 못했을 때는 벽보가 관청이나 민간의 주된 홍보 수단이었다. 그것이 가장 기본적인 수단이라고 생각해서인지, 아니면 전통이 돼서인지 국회의원, 대통령 선거를 보더라도 아직 벽보가 꽤 중요한 구실을 한다. 그런데 더 널리 또는 시급하게 알려야 할 것은 자동차나 비행기가 벽보보다 작은 종이에 내용을 담은 이른바 ‘삐라’를 뿌려 알리기도 했다. 비행기가 뿌려서 하늘에서 펄럭이며 내려오는 삐라는 모처럼 구경거리를 연출하여, 철없는 아이들이 서로 더 많이 주우려고 난리법석을 떨기도 했다.

삐라와 비슷한 낱장 형태로 된 ‘찌라시’도 있다. ‘삐라’는 쓰인 지 꽤 오래 된 탓에 웬만한 국어사전에 실렸지만, ‘찌라시’는 요 근래에 들어온 말인지 국어사전에서 찾기 어렵다.

‘삐라’는 영어 ‘빌’(bill)이 일본말에서 ‘비라’(ビラ)가 된 다음, 우리말로 넘어와 다시 꼴이 바뀐 모습이다. 이는 주로 정치적인 선전문을 담는 것으로 여기는 듯하다. ‘찌라시’는 선전지나 광고지를 뜻하는 일본말 ‘지라시’(散(ち)らし)가 변한 말로서, 우리에게는 상업적인 광고를 담는 것을 뜻하는 쪽으로 한정되는 분위기다. 이와 달리 일본 사전에는 ‘비라’와 ‘지라시’를 거의 같은 뜻으로 풀이했다. ‘삐라’와 ‘찌라시’ 두 가지를 한꺼번에 일컫는 한자말은 ‘전단’(傳單)이며, 근래에는 ‘전단지’라고도 한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0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6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543
2864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58
2863 단어를 쪼개지 말자 바람의종 2012.05.02 11276
2862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708
2861 다 되다, 다되다 바람의종 2012.04.30 9053
2860 송글송글, 송긋송긋 바람의종 2012.04.30 13710
2859 유월, 육월, 오뉴월 바람의종 2012.04.23 13858
2858 안정화시키다 바람의종 2012.04.23 13959
2857 단박하다, 담박하다 / 담백하다, 담박하다 바람의종 2012.04.23 15516
2856 뒤처지다 /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3.27 13278
2855 비속어 바람의종 2012.03.05 11489
2854 배부, 배포 바람의종 2012.03.05 19359
2853 시다바리, 나와바리, 당일바리 바람의종 2012.03.05 17804
2852 접두사 '햇-, 숫-, 맨-' 바람의종 2012.02.01 12851
2851 사전(辭典), 사전(事典) 바람의종 2012.02.01 7821
2850 고국, 모국, 조국 바람의종 2012.02.01 10686
2849 체화 바람의종 2012.01.24 11450
2848 경구 투여 바람의종 2012.01.24 9757
2847 ~라고 / ~고 바람의종 2012.01.24 13871
2846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404
2845 뭉기적거리다, 밍기적거리다 바람의종 2012.01.23 14861
2844 시건 바람의종 2012.01.19 16650
2843 찰라, 찰나, 억겁 바람의종 2012.01.19 205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