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13 03:28

샹재

조회 수 705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샹재

사람이름

이름표기에 ‘佐’(도울 좌)가 적잖이 쓰였다. 말끝에서는 ‘재’, 앞이나 중간에서는 ‘자’로 읽는다. 사람이름 ‘가재·자귀·오자미·자태’에 ‘佐’가 쓰였다. ‘자이덕/재덕’은 伊(이)를 더하여 ‘佐伊德’으로 적었다. 오자미는 콩·팥 따위를 넣고 기운 헝겊주머니다. 서울의 북가좌동·남가좌동은 본디 ‘가재울’(←가재+골)로, 한자로는 ‘加佐洞’(가좌동)이라 하였다.

한자로 적은 이름 ‘上佐·相佐’(모두 상좌)는 <사리영응기>(김수온)의 ‘샹재’에 해당된다. 어버이나 ‘할어버이’(조부모)가 돌아가셨을 때 모시는 맏아들을 ‘맏상제/맏상주’라고 부른다. ‘큰샹재·쟈근샹재’와 같은 이름을 보면 ‘큰샹재’는 요즘의 맏상제다. ‘상제’(喪制)는 ‘장례 제도’와 ‘상주’를 이르는데 ‘샹재’의 소릿값을 보고 재해석하여 한자로 ‘상제’라 한 듯도 하다. 절집에서 ‘상좌’(上佐)는 스승을 이을 첫번째 되는 스님, 불도를 수도하는 행자를 이른다. 두만강 우디거 족에 ‘샹자’가 있었는데 ‘샹재’와 멀지 않다.

1488년, 가뭄이 심하자 임금(성종)은 사람들의 원한부터 풀어주라 하였다. 형(고문)을 받고 옥에 갇히는 것이야말로 더한 원한이 없다며 죄 없이 오래 갇힌 ‘번재’(番佐)를 풀어주라 하였다. 번재는 어루동(어우동)의 딸이다. 함께 지내던 외할머니는 이미 누군가에게 목숨을 빼앗긴 터였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5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041
2864 바바리 바람의종 2009.03.23 7576
2863 뻐꾸기 바람의종 2009.03.24 7142
2862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409
2861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73
2860 모디리 바람의종 2009.03.27 6682
2859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281
2858 공작 바람의종 2009.03.30 5710
2857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59
2856 집이 갔슴둥? 바람의종 2009.03.31 6908
2855 빌레 바람의종 2009.03.31 6709
2854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431
2853 올빼미 바람의종 2009.04.03 7649
2852 스스로를? 바람의종 2009.04.09 5929
2851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671
»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50
2849 삐라·찌라시 바람의종 2009.04.13 6320
2848 비둘기 바람의종 2009.04.14 6161
2847 험담 바람의종 2009.04.30 6775
2846 디려놓곡 내여놓곡 바람의종 2009.04.30 5687
2845 똥금이 바람의종 2009.05.01 6615
2844 파스 바람의종 2009.05.01 12990
2843 따오기 바람의종 2009.05.02 81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