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09 19:50

가입시더

조회 수 6600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입시더

고장말

‘-입시더/-읍시더’는 경상도 말로, 아주높임·예사높임에 두루 쓰인다. 표준어 ‘-읍시다’와 ‘-오/-소’(가오·먹소)에 대응한다. “할매요, 밥 안 묵었으믄 함께 묵읍시더.”(<부르는 소리> 김향숙) “지발 당분간은 서로 못 본 듯 사입시더.”(<영웅시대> 이문열) ‘-입시더/-읍시더’는 행동을 같이할 것을 청할 때 쓰는데, ‘-입·-읍’이 탈락한 ‘-시더’가 경북 북부에서 쓰이기도 한다. “아이, 그 여 얼매 안 되니더. 여 바로 뒤에 있니더. 그럼 그리 가시더.”(<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입시더/-읍시더’에 대응하는 다른 말은 ‘-읍세다’(습세다)와 ‘-읍주’다. ‘-읍주’는 제주에서 쓰인다. “무사마씀, 나도 가삽주.” “어수다(아닙니다). 나, 나 디(같이) 갑주 뭐, 무사 난 아니 갈 말이꽈?”(<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읍세다’는 황해·강원을 뺀 북녘에서 두루 쓰이며, 재중동포들이 많은 만주 쪽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제꺽 찍으시우, 그리구 새 집에 갑세다.”(<이사가는 날> 최학수·재북)

‘-읍세다’와 ‘-읍주’는 아주높임 자리에, ‘-읍세’는 예사높임 자리에 쓰인다. “날래 들어가서 아침이나 먹읍세.”(<고려백정의 사위> 김용식·재중) ‘-읍세’에 대응하는 전라말이 ‘-드라고/-더라고’다. “이, 돌른(훔친) 물건 아닝께 싸게 묵드라고.”(<태백산맥> 조정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4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9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919
1940 센티 바람의종 2011.05.01 13406
1939 세일, 리베이트 바람의종 2008.11.27 6782
1938 세상은 아직… 바람의종 2010.09.29 7468
1937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33
1936 세모, 세밑 바람의종 2009.06.12 7141
1935 세모, 세밑 바람의종 2010.10.21 10632
1934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8.10.07 7422
1933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309
1932 세대주 바람의종 2008.11.23 6276
1931 세노야 바람의종 2012.11.01 15080
1930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513
1929 세금과 요금 바람의종 2008.05.11 5481
1928 세금 폭탄 바람의종 2009.02.04 5518
1927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284
1926 세 돈 금반지 바람의종 2009.07.18 8753
1925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396
1924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風文 2022.06.19 1222
1923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442
1922 성은, 승은, 사약 바람의종 2008.11.18 7367
1921 성숙해지다, 주춤해지다, 팽배해지다, 만연해지다 바람의종 2010.11.26 16981
1920 성별 문법 바람의종 2008.01.18 6912
1919 성대묘사 바람의종 2011.12.05 77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