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09 19:50

가입시더

조회 수 6665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입시더

고장말

‘-입시더/-읍시더’는 경상도 말로, 아주높임·예사높임에 두루 쓰인다. 표준어 ‘-읍시다’와 ‘-오/-소’(가오·먹소)에 대응한다. “할매요, 밥 안 묵었으믄 함께 묵읍시더.”(<부르는 소리> 김향숙) “지발 당분간은 서로 못 본 듯 사입시더.”(<영웅시대> 이문열) ‘-입시더/-읍시더’는 행동을 같이할 것을 청할 때 쓰는데, ‘-입·-읍’이 탈락한 ‘-시더’가 경북 북부에서 쓰이기도 한다. “아이, 그 여 얼매 안 되니더. 여 바로 뒤에 있니더. 그럼 그리 가시더.”(<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입시더/-읍시더’에 대응하는 다른 말은 ‘-읍세다’(습세다)와 ‘-읍주’다. ‘-읍주’는 제주에서 쓰인다. “무사마씀, 나도 가삽주.” “어수다(아닙니다). 나, 나 디(같이) 갑주 뭐, 무사 난 아니 갈 말이꽈?”(<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읍세다’는 황해·강원을 뺀 북녘에서 두루 쓰이며, 재중동포들이 많은 만주 쪽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제꺽 찍으시우, 그리구 새 집에 갑세다.”(<이사가는 날> 최학수·재북)

‘-읍세다’와 ‘-읍주’는 아주높임 자리에, ‘-읍세’는 예사높임 자리에 쓰인다. “날래 들어가서 아침이나 먹읍세.”(<고려백정의 사위> 김용식·재중) ‘-읍세’에 대응하는 전라말이 ‘-드라고/-더라고’다. “이, 돌른(훔친) 물건 아닝께 싸게 묵드라고.”(<태백산맥> 조정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20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7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591
1522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220
1521 들추다, 들치다 바람의종 2009.11.24 10593
1520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873
1519 질투 바람의종 2009.11.29 9648
1518 싸목싸목 허소! 바람의종 2009.11.29 9708
1517 곰비임비 바람의종 2009.11.29 8416
1516 차별하는 말 미망인 1 바람의종 2009.11.29 10434
1515 땜빵 바람의종 2009.11.29 21397
1514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74
1513 놉샹이 바람의종 2009.12.01 8534
1512 선크림 바람의종 2009.12.01 7903
1511 ‘몇 일’이 아니고 ‘며칠’인 이유 바람의종 2009.12.01 10863
1510 아리아리 바람의종 2009.12.01 10894
1509 됐거든 바람의종 2009.12.01 8732
1508 어깨를 걸고 나란히 바람의종 2009.12.01 12284
1507 할미새 바람의종 2009.12.04 10066
1506 실랑이 바람의종 2009.12.04 8992
1505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9989
1504 ‘하므로’와 ‘함으로’ 바람의종 2009.12.04 9587
1503 빈축, 효빈, 눈살, 눈쌀 바람의종 2009.12.04 14371
1502 애기 바람의종 2009.12.04 7042
1501 서나서나 허소! file 바람의종 2009.12.14 88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