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09 19:50

가입시더

조회 수 658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입시더

고장말

‘-입시더/-읍시더’는 경상도 말로, 아주높임·예사높임에 두루 쓰인다. 표준어 ‘-읍시다’와 ‘-오/-소’(가오·먹소)에 대응한다. “할매요, 밥 안 묵었으믄 함께 묵읍시더.”(<부르는 소리> 김향숙) “지발 당분간은 서로 못 본 듯 사입시더.”(<영웅시대> 이문열) ‘-입시더/-읍시더’는 행동을 같이할 것을 청할 때 쓰는데, ‘-입·-읍’이 탈락한 ‘-시더’가 경북 북부에서 쓰이기도 한다. “아이, 그 여 얼매 안 되니더. 여 바로 뒤에 있니더. 그럼 그리 가시더.”(<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입시더/-읍시더’에 대응하는 다른 말은 ‘-읍세다’(습세다)와 ‘-읍주’다. ‘-읍주’는 제주에서 쓰인다. “무사마씀, 나도 가삽주.” “어수다(아닙니다). 나, 나 디(같이) 갑주 뭐, 무사 난 아니 갈 말이꽈?”(<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읍세다’는 황해·강원을 뺀 북녘에서 두루 쓰이며, 재중동포들이 많은 만주 쪽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제꺽 찍으시우, 그리구 새 집에 갑세다.”(<이사가는 날> 최학수·재북)

‘-읍세다’와 ‘-읍주’는 아주높임 자리에, ‘-읍세’는 예사높임 자리에 쓰인다. “날래 들어가서 아침이나 먹읍세.”(<고려백정의 사위> 김용식·재중) ‘-읍세’에 대응하는 전라말이 ‘-드라고/-더라고’다. “이, 돌른(훔친) 물건 아닝께 싸게 묵드라고.”(<태백산맥> 조정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25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5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707
2864 굿 바람의종 2008.02.17 7957
2863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16
2862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6960
2861 궁작이 바람의종 2009.05.30 6248
2860 궂기다 바람의종 2010.03.16 12205
2859 궂긴소식 바람의종 2008.04.30 8732
2858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398
2857 궂은날, 궂은 날 바람의종 2010.05.28 11361
2856 권력의 용어 風文 2022.02.10 1085
2855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265
2854 귀감 바람의종 2007.06.06 8602
2853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바람의종 2012.08.14 32874
2852 귀성 바람의종 2009.06.11 10605
2851 귀순과 의거 관리자 2022.05.20 957
2850 귀절 / 구절 바람의종 2009.02.17 11004
2849 귀지하다 바람의종 2008.02.15 9797
2848 귀추가 주목된다 바람의종 2007.12.28 17959
2847 귀향객, 귀성객 바람의종 2012.09.26 8590
2846 귓밥을 귀후비개로 파다 바람의종 2009.04.03 10701
2845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192
2844 그것참 바람의종 2010.08.27 8970
2843 그녀 바람의종 2009.07.10 73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