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09 19:50

가입시더

조회 수 673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입시더

고장말

‘-입시더/-읍시더’는 경상도 말로, 아주높임·예사높임에 두루 쓰인다. 표준어 ‘-읍시다’와 ‘-오/-소’(가오·먹소)에 대응한다. “할매요, 밥 안 묵었으믄 함께 묵읍시더.”(<부르는 소리> 김향숙) “지발 당분간은 서로 못 본 듯 사입시더.”(<영웅시대> 이문열) ‘-입시더/-읍시더’는 행동을 같이할 것을 청할 때 쓰는데, ‘-입·-읍’이 탈락한 ‘-시더’가 경북 북부에서 쓰이기도 한다. “아이, 그 여 얼매 안 되니더. 여 바로 뒤에 있니더. 그럼 그리 가시더.”(<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입시더/-읍시더’에 대응하는 다른 말은 ‘-읍세다’(습세다)와 ‘-읍주’다. ‘-읍주’는 제주에서 쓰인다. “무사마씀, 나도 가삽주.” “어수다(아닙니다). 나, 나 디(같이) 갑주 뭐, 무사 난 아니 갈 말이꽈?”(<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읍세다’는 황해·강원을 뺀 북녘에서 두루 쓰이며, 재중동포들이 많은 만주 쪽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제꺽 찍으시우, 그리구 새 집에 갑세다.”(<이사가는 날> 최학수·재북)

‘-읍세다’와 ‘-읍주’는 아주높임 자리에, ‘-읍세’는 예사높임 자리에 쓰인다. “날래 들어가서 아침이나 먹읍세.”(<고려백정의 사위> 김용식·재중) ‘-읍세’에 대응하는 전라말이 ‘-드라고/-더라고’다. “이, 돌른(훔친) 물건 아닝께 싸게 묵드라고.”(<태백산맥> 조정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8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5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220
2864 너도밤나무 바람의종 2008.01.22 6923
2863 알토란 같다 바람의종 2008.01.24 15983
2862 애가 끊어질 듯하다 바람의종 2008.01.24 10775
2861 황새울과 큰새 바람의종 2008.01.24 11533
2860 사촌 바람의종 2008.01.24 10565
2859 이마귀 바람의종 2008.01.24 9436
2858 액면 그대로 바람의종 2008.01.25 6979
2857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237
2856 어안이 벙벙하다 바람의종 2008.01.25 15971
2855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413
2854 개양귀비 바람의종 2008.01.25 7547
2853 듬실과 버드실 바람의종 2008.01.25 7808
2852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8.01.26 10170
2851 억지 춘향 바람의종 2008.01.26 10098
2850 여자 팔자 뒤웅박 팔자 바람의종 2008.01.26 15622
2849 형제자매 바람의종 2008.01.26 11760
2848 자욱길 바람의종 2008.01.26 11839
2847 뽑다와 캐다 바람의종 2008.01.26 8443
2846 오지랖이 넓다 바람의종 2008.01.27 14365
2845 이골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27 16778
2844 인구에 회자되다 바람의종 2008.01.27 13714
2843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91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