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03 16:49

올빼미

조회 수 764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올빼미

짐승이름

올빼미의 울음소리는 뭔가 으스스한 느낌을 주는 것으로 받아들였다. 조선 선조 무렵 문신으로 활동한 이수광과 관련한 이야기가 전해 온다. 그가 안변의 원으로 일을 할 때였다. 관아에 있는 나무숲에서 올빼미가 울었다. 사람들은 놀라 걱정을 하였다. “관아에서 올빼미가 울면 고을의 관장이 자리에서 물러나게 된다.” 하지만 그는 오히려 사람들을 타일렀다. “올빼미 울음이 이상한 것이 아니라 그대들의 말이 이상하다. 나는 아무렇지도 않으니 걱정하지 말라”고. 우연의 일치라도 되는 듯 며칠 지나지 않아 그는 원님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특히 겨울밤에 올빼미가 울면 어린아이들이 칭얼대며 우는 소리처럼 우울하게 들린다. 이로 미루어 올빼미가 밤에 자주 울게 되면 마을이나 집안에 돌림병으로 숨지는 사람이 생기거나 난리가 일어나기도 하며, 애써 지어놓은 곡식이 여물지 않는 일이 생긴다는 속설이 나온 것 아닌가 한다.

옛말에 올빼미는 ‘옫바미’(훈몽자회 梟)였다. 말의 짜임으로 보아 ‘옫밤’에 접미사 ‘-이’가 붙고 소리가 이어나 굳어진 말이다. 미루어 보건대, ‘옫-돗-올’은 하나의 낱말 겨레들이다. 여기서 ‘옫’을 주목하게 된다. 옫은 위(上)다. 그러니까 밤새 소리로 듣고 아주 희미한 불빛이라도 이용하여 먹이를 잡고 활동을 하므로 그리 부른 것으로 볼 수 있다. 매사는 눈 바로 뜨고 마음의 소리를 들음이 중요하지.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5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16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60
2864 굿 바람의종 2008.02.17 8044
2863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31
2862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7029
2861 궁작이 바람의종 2009.05.30 6257
2860 궂기다 바람의종 2010.03.16 12207
2859 궂긴소식 바람의종 2008.04.30 8810
2858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433
2857 궂은날, 궂은 날 바람의종 2010.05.28 11371
2856 권력의 용어 風文 2022.02.10 1156
2855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356
2854 귀감 바람의종 2007.06.06 8634
2853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바람의종 2012.08.14 32952
2852 귀성 바람의종 2009.06.11 10609
2851 귀순과 의거 관리자 2022.05.20 1045
2850 귀절 / 구절 바람의종 2009.02.17 11006
2849 귀지하다 바람의종 2008.02.15 9919
2848 귀추가 주목된다 바람의종 2007.12.28 18007
2847 귀향객, 귀성객 바람의종 2012.09.26 8624
2846 귓밥을 귀후비개로 파다 바람의종 2009.04.03 10707
2845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205
2844 그것참 바람의종 2010.08.27 8982
2843 그녀 바람의종 2009.07.10 73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