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03 16:49

올빼미

조회 수 7655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올빼미

짐승이름

올빼미의 울음소리는 뭔가 으스스한 느낌을 주는 것으로 받아들였다. 조선 선조 무렵 문신으로 활동한 이수광과 관련한 이야기가 전해 온다. 그가 안변의 원으로 일을 할 때였다. 관아에 있는 나무숲에서 올빼미가 울었다. 사람들은 놀라 걱정을 하였다. “관아에서 올빼미가 울면 고을의 관장이 자리에서 물러나게 된다.” 하지만 그는 오히려 사람들을 타일렀다. “올빼미 울음이 이상한 것이 아니라 그대들의 말이 이상하다. 나는 아무렇지도 않으니 걱정하지 말라”고. 우연의 일치라도 되는 듯 며칠 지나지 않아 그는 원님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특히 겨울밤에 올빼미가 울면 어린아이들이 칭얼대며 우는 소리처럼 우울하게 들린다. 이로 미루어 올빼미가 밤에 자주 울게 되면 마을이나 집안에 돌림병으로 숨지는 사람이 생기거나 난리가 일어나기도 하며, 애써 지어놓은 곡식이 여물지 않는 일이 생긴다는 속설이 나온 것 아닌가 한다.

옛말에 올빼미는 ‘옫바미’(훈몽자회 梟)였다. 말의 짜임으로 보아 ‘옫밤’에 접미사 ‘-이’가 붙고 소리가 이어나 굳어진 말이다. 미루어 보건대, ‘옫-돗-올’은 하나의 낱말 겨레들이다. 여기서 ‘옫’을 주목하게 된다. 옫은 위(上)다. 그러니까 밤새 소리로 듣고 아주 희미한 불빛이라도 이용하여 먹이를 잡고 활동을 하므로 그리 부른 것으로 볼 수 있다. 매사는 눈 바로 뜨고 마음의 소리를 들음이 중요하지.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1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6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575
1280 꿰매다, 시치다 바람의종 2008.11.25 7797
1279 조앙가 file 바람의종 2009.09.23 7796
1278 안 해, 안돼 바람의종 2009.08.06 7796
1277 (공장)부지 바람의종 2007.10.13 7793
1276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92
1275 동기간 바람의종 2007.06.28 7792
1274 자정 바람의종 2007.08.14 7792
1273 공암진 바람의종 2008.04.27 7789
1272 만큼 바람의종 2010.05.11 7787
1271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86
1270 따발/따발총 바람의종 2008.03.16 7785
1269 즐겁다, 기쁘다 바람의종 2008.10.13 7781
1268 듬실과 버드실 바람의종 2008.01.25 7779
1267 오마대·기림대·오고타이 바람의종 2008.04.26 7779
1266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777
1265 두사부일체 (일체/일절) 바람의종 2008.04.23 7774
1264 멘토링 바람의종 2010.03.04 7773
1263 한번, 한 번 바람의종 2009.03.26 7770
1262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769
1261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768
1260 돌림말 바람의종 2009.09.26 7768
1259 상무성 바람의종 2010.09.29 77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