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31 16:24

빌레

조회 수 670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빌레

사람이름

1479년(성종 10년) 5월, 유구까지 표류했던 제주 사람 ‘김빌개’(金非乙介)·강무·이정을 배에 태우고, 유구국 사신이 219명의 수행인과 울산 염포에 도착했다. 1477년 2월에는 진상할 홍귤을 비거도선(鼻居刀船)에 싣고 추자도에 닿았을 때 바람을 만나 서쪽으로, 다시 남으로 떠내려갔으며, 함께 탄 이들은 다 빠져 죽고 세 사람만 겨우 살아남아 유구에 이르렀다. ‘빌개’는 ‘非衣’(비의)로도 적었다. ‘빌개’에 가까운 제주도 말에 ‘빌레’가 있다. 非衣는 ‘빌에’를 적은 듯하다. 옛말 ‘비레’는 벼랑, 제주말 ‘빌레’는 ‘너럭바위/암반지대’며, 붉은 흙이 섞인 현무암을 ‘썩은 빌레’로도 부른다. 비슷한 이름에 ‘비라·비력’도 있다.

화산섬 제주에서만 쓰는 지질용어가 적잖다. 기생화산은 ‘오름’(=산)으로 더 알려졌다. 오름은 화산재 말고 ‘분석’(噴石)으로도 이뤄지며 ‘송이’라 한다. 분석구를 ‘송이오름’이라 해도 좋을 듯하다. 구멍이 송송 물에 뜨는 ‘부석’은 ‘속돌’, 뭉우리돌은 ‘머돌’, 자갈은 ‘작지’, 잔자갈이 깔린 바다를 ‘조작지왓’이라 한다. ‘아아 용암’은 굳으면 표면이 거칠거칠하며 다닐 수 없어 자연 숲을 이루는데 이를 ‘곶자왈’이라 부른다.

제주엔 여자·돌·바람이 많다던가? 바다에 남편 앗긴 여인들은 바람이 되어 돌밭을 일구고 물질로 삶을 가멸게 한 모양이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3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9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855
598 바람의종 2009.05.06 7844
597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50
596 죽으깨미 바람의종 2009.05.04 7687
595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8914
594 따오기 바람의종 2009.05.02 8159
593 파스 바람의종 2009.05.01 12987
592 똥금이 바람의종 2009.05.01 6611
591 디려놓곡 내여놓곡 바람의종 2009.04.30 5684
590 험담 바람의종 2009.04.30 6762
589 비둘기 바람의종 2009.04.14 6155
588 삐라·찌라시 바람의종 2009.04.13 6320
587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43
586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654
585 스스로를? 바람의종 2009.04.09 5929
584 올빼미 바람의종 2009.04.03 7644
583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422
» 빌레 바람의종 2009.03.31 6709
581 집이 갔슴둥? 바람의종 2009.03.31 6908
580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59
579 공작 바람의종 2009.03.30 5707
578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268
577 모디리 바람의종 2009.03.27 66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