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31 16:23

집이 갔슴둥?

조회 수 684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집이 갔슴둥?

고장말

‘-슴둥’은 표준어 ‘-습니까’에 대응하는 말로, 주로 함북 지역과 동포들이 많이 사는 만주 ‘계동·연길·화룡·훈춘’ 등지에서 쓰이는 고장말이다. “어째 아이 먹슴둥?”(<눈물젖은 두만강> 최일홍·재중) “안녕했슴둥?”(<함북방언사전>) ‘-슴둥’의 또다른 형태는 ‘-슴두’다. “아반님, 밤새 알려하심두?”(<동해안 방언 연구> 황대화)

‘-슴둥’과 대응하는 말로는 경상도 ‘-는교’, 제주 ‘-수과’, 전라 ‘-습디여’, 평안·함경 ‘-습네까’, ‘-습데까’ 등을 들 수 있다. ‘-는교’는 ‘-는가요’가 변해 된 말, ‘-수과’는 ‘합쇼체’ 어미 ‘-수-’에 ‘-과’가 결합된 것이다. “누가 똥 묻은 엽전 한 닢이 기럽어서 변소 펄라 카는 줄 아는교?”(<불의 제전> 김원일) “아버지, 그 지게 무사 그디 내비염수과?”(<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일이나 시길라먼 불릉게 그러겄지맹. 이뿌다고 씰어 줄라고 부를랍디여?”(<혼불> 최명희)

‘-습네까’는 주로 평안 쪽에서 쓰이는데, 제주에서도 발견된다. “선생님은 어드렇게 해서 그런 보물을 구하섰습네까?(<한국구전설화> 평안편) 특히 ‘-습데까’는 ‘-슴둥’과 함께 주로 북녘에서만 발견되는 고장말로, 회상하며 물을 때 쓴다. “그리 오줌이 메랍데까?”(위 책), “지금 사과를 따고 있습데까?”(<남북한말 비교사전> 조재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58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0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974
2864 바바리 바람의종 2009.03.23 7542
2863 뻐꾸기 바람의종 2009.03.24 7118
2862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376
2861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61
2860 모디리 바람의종 2009.03.27 6656
2859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177
2858 공작 바람의종 2009.03.30 5682
2857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48
» 집이 갔슴둥? 바람의종 2009.03.31 6848
2855 빌레 바람의종 2009.03.31 6683
2854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341
2853 올빼미 바람의종 2009.04.03 7635
2852 스스로를? 바람의종 2009.04.09 5913
2851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575
2850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30
2849 삐라·찌라시 바람의종 2009.04.13 6295
2848 비둘기 바람의종 2009.04.14 6143
2847 험담 바람의종 2009.04.30 6688
2846 디려놓곡 내여놓곡 바람의종 2009.04.30 5680
2845 똥금이 바람의종 2009.05.01 6604
2844 파스 바람의종 2009.05.01 12898
2843 따오기 바람의종 2009.05.02 81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