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31 16:23

집이 갔슴둥?

조회 수 693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집이 갔슴둥?

고장말

‘-슴둥’은 표준어 ‘-습니까’에 대응하는 말로, 주로 함북 지역과 동포들이 많이 사는 만주 ‘계동·연길·화룡·훈춘’ 등지에서 쓰이는 고장말이다. “어째 아이 먹슴둥?”(<눈물젖은 두만강> 최일홍·재중) “안녕했슴둥?”(<함북방언사전>) ‘-슴둥’의 또다른 형태는 ‘-슴두’다. “아반님, 밤새 알려하심두?”(<동해안 방언 연구> 황대화)

‘-슴둥’과 대응하는 말로는 경상도 ‘-는교’, 제주 ‘-수과’, 전라 ‘-습디여’, 평안·함경 ‘-습네까’, ‘-습데까’ 등을 들 수 있다. ‘-는교’는 ‘-는가요’가 변해 된 말, ‘-수과’는 ‘합쇼체’ 어미 ‘-수-’에 ‘-과’가 결합된 것이다. “누가 똥 묻은 엽전 한 닢이 기럽어서 변소 펄라 카는 줄 아는교?”(<불의 제전> 김원일) “아버지, 그 지게 무사 그디 내비염수과?”(<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일이나 시길라먼 불릉게 그러겄지맹. 이뿌다고 씰어 줄라고 부를랍디여?”(<혼불> 최명희)

‘-습네까’는 주로 평안 쪽에서 쓰이는데, 제주에서도 발견된다. “선생님은 어드렇게 해서 그런 보물을 구하섰습네까?(<한국구전설화> 평안편) 특히 ‘-습데까’는 ‘-슴둥’과 함께 주로 북녘에서만 발견되는 고장말로, 회상하며 물을 때 쓴다. “그리 오줌이 메랍데까?”(위 책), “지금 사과를 따고 있습데까?”(<남북한말 비교사전> 조재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9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64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344
2864 너도밤나무 바람의종 2008.01.22 6935
2863 알토란 같다 바람의종 2008.01.24 15983
2862 애가 끊어질 듯하다 바람의종 2008.01.24 10775
2861 황새울과 큰새 바람의종 2008.01.24 11537
2860 사촌 바람의종 2008.01.24 10565
2859 이마귀 바람의종 2008.01.24 9436
2858 액면 그대로 바람의종 2008.01.25 6979
2857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237
2856 어안이 벙벙하다 바람의종 2008.01.25 15971
2855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413
2854 개양귀비 바람의종 2008.01.25 7557
2853 듬실과 버드실 바람의종 2008.01.25 7808
2852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8.01.26 10170
2851 억지 춘향 바람의종 2008.01.26 10098
2850 여자 팔자 뒤웅박 팔자 바람의종 2008.01.26 15622
2849 형제자매 바람의종 2008.01.26 11764
2848 자욱길 바람의종 2008.01.26 11843
2847 뽑다와 캐다 바람의종 2008.01.26 8447
2846 오지랖이 넓다 바람의종 2008.01.27 14365
2845 이골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27 16778
2844 인구에 회자되다 바람의종 2008.01.27 13714
2843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91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