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31 16:23

집이 갔슴둥?

조회 수 6857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집이 갔슴둥?

고장말

‘-슴둥’은 표준어 ‘-습니까’에 대응하는 말로, 주로 함북 지역과 동포들이 많이 사는 만주 ‘계동·연길·화룡·훈춘’ 등지에서 쓰이는 고장말이다. “어째 아이 먹슴둥?”(<눈물젖은 두만강> 최일홍·재중) “안녕했슴둥?”(<함북방언사전>) ‘-슴둥’의 또다른 형태는 ‘-슴두’다. “아반님, 밤새 알려하심두?”(<동해안 방언 연구> 황대화)

‘-슴둥’과 대응하는 말로는 경상도 ‘-는교’, 제주 ‘-수과’, 전라 ‘-습디여’, 평안·함경 ‘-습네까’, ‘-습데까’ 등을 들 수 있다. ‘-는교’는 ‘-는가요’가 변해 된 말, ‘-수과’는 ‘합쇼체’ 어미 ‘-수-’에 ‘-과’가 결합된 것이다. “누가 똥 묻은 엽전 한 닢이 기럽어서 변소 펄라 카는 줄 아는교?”(<불의 제전> 김원일) “아버지, 그 지게 무사 그디 내비염수과?”(<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일이나 시길라먼 불릉게 그러겄지맹. 이뿌다고 씰어 줄라고 부를랍디여?”(<혼불> 최명희)

‘-습네까’는 주로 평안 쪽에서 쓰이는데, 제주에서도 발견된다. “선생님은 어드렇게 해서 그런 보물을 구하섰습네까?(<한국구전설화> 평안편) 특히 ‘-습데까’는 ‘-슴둥’과 함께 주로 북녘에서만 발견되는 고장말로, 회상하며 물을 때 쓴다. “그리 오줌이 메랍데까?”(위 책), “지금 사과를 따고 있습데까?”(<남북한말 비교사전> 조재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0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5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504
2864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24
2863 단어를 쪼개지 말자 바람의종 2012.05.02 11042
2862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659
2861 다 되다, 다되다 바람의종 2012.04.30 9024
2860 송글송글, 송긋송긋 바람의종 2012.04.30 13635
2859 유월, 육월, 오뉴월 바람의종 2012.04.23 13768
2858 안정화시키다 바람의종 2012.04.23 13864
2857 단박하다, 담박하다 / 담백하다, 담박하다 바람의종 2012.04.23 15429
2856 뒤처지다 /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3.27 13221
2855 비속어 바람의종 2012.03.05 11462
2854 배부, 배포 바람의종 2012.03.05 19263
2853 시다바리, 나와바리, 당일바리 바람의종 2012.03.05 17739
2852 접두사 '햇-, 숫-, 맨-' 바람의종 2012.02.01 12814
2851 사전(辭典), 사전(事典) 바람의종 2012.02.01 7792
2850 고국, 모국, 조국 바람의종 2012.02.01 10649
2849 체화 바람의종 2012.01.24 11406
2848 경구 투여 바람의종 2012.01.24 9727
2847 ~라고 / ~고 바람의종 2012.01.24 13734
2846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363
2845 뭉기적거리다, 밍기적거리다 바람의종 2012.01.23 14765
2844 시건 바람의종 2012.01.19 16592
2843 찰라, 찰나, 억겁 바람의종 2012.01.19 204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