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30 15:34

서로

조회 수 576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서로

언어예절

‘모두’가 ‘어찌·어떻게’로 쓰이는 게 자연스럽듯 ‘서로’도 그렇다. ‘서로’를 풀이하기가 쉽지 않은데, 사전마다 풀이 차이가 난다. 뭉뚱그리면 ‘저마다 또는 두 쪽이 함께’ 정도가 되겠다. ‘서로서로’는 ‘서로’를 겹쳐 힘준 말로서 좀 수다스런 느낌을 준다.

이따금 ‘서로가·서로는·서로의’처럼 토를 붙여 ‘양쪽·두 쪽’을 일컫는데, 본디 쓰임을 깨뜨림으로써 강조하는 구실을 한다. 그럴 필요까지 없는 쓰임들을 손질하면 토는 주체를 이루는 말로 옮기거나 아예 떼어 버리는 게 낫다.

“서로(를) 사랑한다/ 우리 서로(가) 힘을 합치면 두려울 것이 없다/ 모두(가) 가슴이 철렁해서 서로(를) 돌아보고 있었다”에서는 토가 없는 게 깔끔하다.

‘서로’를 명사적으로 쓰는 것보다 ‘상대, 양쪽, 저마다, 각자 …’들로 바꿔 쓰는 게 정확하고 순순해진다.

△서로가 서로를→서로 또는 서로서로 △그들은 서로의 약점을 알고 있다→그들은 서로(상대의) ~ △서로에게 마음을 열고→서로 마음을 ~. △서로에 대한 친밀감과 신뢰가 배어나는 통화 내용이었다→서로간에 친밀감과 신뢰가 ~ △서로의 이해가 충돌하는→서로 이해가 ~ △서로가 옳다고 주장한다→서로 옳다고 ~ △서로를 섬기면서→서로 섬기면서 △우리는 서로에게 언제나 힘이 됐다→우리는 언제나 서로 ~ △아픔을 서로에게서 치유받고 있는지도 모르겠다→상처를 서로 어루만지고 ~.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4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97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846
1962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320
1961 싸드락싸드락 묵소! 바람의종 2009.11.23 9313
1960 옷매무새, 옷매무시 바람의종 2008.09.25 9313
1959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309
1958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308
1957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306
1956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305
1955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299
1954 딱총새 바람의종 2009.10.02 9296
1953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94
1952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288
1951 책갈피 바람의종 2010.10.06 9288
1950 루즈 바람의종 2008.02.11 9283
1949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83
1948 바람의종 2012.07.27 9282
1947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9281
1946 넋살탕 바람의종 2008.03.07 9278
1945 미셸, 섀도 바람의종 2010.04.24 9278
1944 동백꽃 바람의종 2010.07.09 9275
1943 되놈 바람의종 2008.02.23 9270
1942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08.01.10 9265
1941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2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