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30 15:34

서로

조회 수 5774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서로

언어예절

‘모두’가 ‘어찌·어떻게’로 쓰이는 게 자연스럽듯 ‘서로’도 그렇다. ‘서로’를 풀이하기가 쉽지 않은데, 사전마다 풀이 차이가 난다. 뭉뚱그리면 ‘저마다 또는 두 쪽이 함께’ 정도가 되겠다. ‘서로서로’는 ‘서로’를 겹쳐 힘준 말로서 좀 수다스런 느낌을 준다.

이따금 ‘서로가·서로는·서로의’처럼 토를 붙여 ‘양쪽·두 쪽’을 일컫는데, 본디 쓰임을 깨뜨림으로써 강조하는 구실을 한다. 그럴 필요까지 없는 쓰임들을 손질하면 토는 주체를 이루는 말로 옮기거나 아예 떼어 버리는 게 낫다.

“서로(를) 사랑한다/ 우리 서로(가) 힘을 합치면 두려울 것이 없다/ 모두(가) 가슴이 철렁해서 서로(를) 돌아보고 있었다”에서는 토가 없는 게 깔끔하다.

‘서로’를 명사적으로 쓰는 것보다 ‘상대, 양쪽, 저마다, 각자 …’들로 바꿔 쓰는 게 정확하고 순순해진다.

△서로가 서로를→서로 또는 서로서로 △그들은 서로의 약점을 알고 있다→그들은 서로(상대의) ~ △서로에게 마음을 열고→서로 마음을 ~. △서로에 대한 친밀감과 신뢰가 배어나는 통화 내용이었다→서로간에 친밀감과 신뢰가 ~ △서로의 이해가 충돌하는→서로 이해가 ~ △서로가 옳다고 주장한다→서로 옳다고 ~ △서로를 섬기면서→서로 섬기면서 △우리는 서로에게 언제나 힘이 됐다→우리는 언제나 서로 ~ △아픔을 서로에게서 치유받고 있는지도 모르겠다→상처를 서로 어루만지고 ~.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8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3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283
1896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905
1895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405
1894 과녁, 이녁, 새벽녘, 저물녘 바람의종 2009.05.09 12224
1893 외동이, 외둥이 바람의종 2009.05.09 8620
1892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48
1891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836
1890 좌우 바람의종 2009.05.12 8065
1889 묵음시롱 바람의종 2009.05.12 6344
1888 비박 바람의종 2009.05.12 8480
1887 '~적' 줄여 쓰기 바람의종 2009.05.12 11858
1886 검어솔이 바람의종 2009.05.15 7035
1885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53
1884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27
1883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5.15 9477
1882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584
1881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64
1880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565
1879 연신, 연거푸 바람의종 2009.05.17 8886
1878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822
1877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51
1876 눈곱, 눈살, 눈썰미, 눈썹 바람의종 2009.05.20 11019
1875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9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