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26 18:43

으디 갔습메?

조회 수 777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으디 갔습메?

고장말

‘-습메’는 주로 평안과 함경에서, 같은 또래끼리 묻거나 대답할 때 쓰인다. 굳이 표준말로 바꾸면, ‘-네’나 ‘-는가’에 해당한다. “여보시 님제레 송구두 죽디 않구 살아 있습메?”(<한국구전설화> 평안편) “창덕이가 잡헤 갔습메.”(<북간도> 안수길) “일하러 갑메?”(<동해안 방언 연구> 황대화) ‘-습메’는 옛말 ‘-습네이다’의 ‘-이다’가 탈락한 ‘-습네’가 ‘-습네>-습메’와 같이 변해 된 말이다. ‘-습메’의 다른 형태로 ‘-습마’가 있는데, ‘-습마’는 평안 지역에서만 쓰인다. “이제야 골문 거이 터뎄구나, 보구레 고름이 이같이 많이 테데 나오디 않했습마.”(<한국구전설화> 평북편)

‘-습메’와 같이 ‘-습데’가 쓰이기도 하는데, ‘-습데’는 ‘-습메’와 마찬가지로 옛말 ‘-습데이다’의 ‘-이다’가 탈락한 형태다. “우리가 지금 집구석에 들어앉아 물계를 모르니 그렇지 별의별 일이 다 있습데.”(<영원한 미소> 김수범)

‘-습메’와 ‘-습데’ 대응하는 높임말은 ‘-습메다’와 ‘-습데다’다. ‘-습메다’는 ‘-습마’와는 반대로 함경 지역에서만 쓰이는 반면, ‘-습데다’는 평안·함경 두루 쓰인다. “지난밤에 사잇섬에 강 게 앙이라 강 건너에 갔습메다.”(<북간도> 안수길) “몸을 풀고도 미역국은커녕 죽물 한 사발 배불리 먹지 못하구 피덩이 같은 것을 내게 맡기구 갔습데다.”(<송가> 림재성)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1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6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561
1962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304
1961 장안 바람의종 2007.08.15 9298
1960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297
1959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296
1958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295
1957 딱총새 바람의종 2009.10.02 9292
1956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290
1955 싸드락싸드락 묵소! 바람의종 2009.11.23 9288
1954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88
1953 루즈 바람의종 2008.02.11 9281
1952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80
1951 책갈피 바람의종 2010.10.06 9279
1950 바람의종 2012.07.27 9279
1949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277
1948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270
1947 동백꽃 바람의종 2010.07.09 9267
1946 되놈 바람의종 2008.02.23 9266
1945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08.01.10 9265
1944 미셸, 섀도 바람의종 2010.04.24 9263
1943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55
1942 괴나리봇짐, 쇠털, 괴발개발 바람의종 2008.05.23 9255
1941 막간을 이용하다 바람의종 2008.01.06 92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