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26 18:43

으디 갔습메?

조회 수 7761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으디 갔습메?

고장말

‘-습메’는 주로 평안과 함경에서, 같은 또래끼리 묻거나 대답할 때 쓰인다. 굳이 표준말로 바꾸면, ‘-네’나 ‘-는가’에 해당한다. “여보시 님제레 송구두 죽디 않구 살아 있습메?”(<한국구전설화> 평안편) “창덕이가 잡헤 갔습메.”(<북간도> 안수길) “일하러 갑메?”(<동해안 방언 연구> 황대화) ‘-습메’는 옛말 ‘-습네이다’의 ‘-이다’가 탈락한 ‘-습네’가 ‘-습네>-습메’와 같이 변해 된 말이다. ‘-습메’의 다른 형태로 ‘-습마’가 있는데, ‘-습마’는 평안 지역에서만 쓰인다. “이제야 골문 거이 터뎄구나, 보구레 고름이 이같이 많이 테데 나오디 않했습마.”(<한국구전설화> 평북편)

‘-습메’와 같이 ‘-습데’가 쓰이기도 하는데, ‘-습데’는 ‘-습메’와 마찬가지로 옛말 ‘-습데이다’의 ‘-이다’가 탈락한 형태다. “우리가 지금 집구석에 들어앉아 물계를 모르니 그렇지 별의별 일이 다 있습데.”(<영원한 미소> 김수범)

‘-습메’와 ‘-습데’ 대응하는 높임말은 ‘-습메다’와 ‘-습데다’다. ‘-습메다’는 ‘-습마’와는 반대로 함경 지역에서만 쓰이는 반면, ‘-습데다’는 평안·함경 두루 쓰인다. “지난밤에 사잇섬에 강 게 앙이라 강 건너에 갔습메다.”(<북간도> 안수길) “몸을 풀고도 미역국은커녕 죽물 한 사발 배불리 먹지 못하구 피덩이 같은 것을 내게 맡기구 갔습데다.”(<송가> 림재성)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5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99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42
2622 음반이요? 바람의종 2008.09.18 6302
2621 을씨년스럽다 바람의종 2007.03.15 9907
2620 은행 바람의종 2007.08.13 6792
2619 은폐, 은닉 바람의종 2011.10.25 10760
2618 은어와 속어 바람의종 2010.03.10 10857
2617 은방울꽃 바람의종 2008.03.12 7098
2616 은둔, 은신 바람의종 2010.08.25 10479
2615 은냇골 이야기 바람의종 2008.05.10 6601
2614 윽박 바람의종 2008.01.18 10184
2613 으악새 바람의종 2008.01.31 9822
2612 으시시, 부시시 바람의종 2009.07.23 7931
2611 으레, 으례, 의례 바람의종 2012.08.23 14984
2610 으뜸, 버금, 맞먹다, 필적하다 바람의종 2008.09.19 16934
»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61
2608 윤중로 바람의종 2011.12.23 10034
2607 육시랄 놈 바람의종 2008.02.29 18000
2606 육상대회 바람의종 2011.11.16 11091
2605 육개장 바람의종 2008.04.28 5936
2604 유혈목이, 새홀리기 바람의종 2010.04.02 10801
2603 유해, 유골 바람의종 2010.09.05 14323
2602 유해 식품, 위해 식품 바람의종 2009.11.08 9764
2601 유토피아 바람의종 2008.02.18 97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