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26 18:43

으디 갔습메?

조회 수 7775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으디 갔습메?

고장말

‘-습메’는 주로 평안과 함경에서, 같은 또래끼리 묻거나 대답할 때 쓰인다. 굳이 표준말로 바꾸면, ‘-네’나 ‘-는가’에 해당한다. “여보시 님제레 송구두 죽디 않구 살아 있습메?”(<한국구전설화> 평안편) “창덕이가 잡헤 갔습메.”(<북간도> 안수길) “일하러 갑메?”(<동해안 방언 연구> 황대화) ‘-습메’는 옛말 ‘-습네이다’의 ‘-이다’가 탈락한 ‘-습네’가 ‘-습네>-습메’와 같이 변해 된 말이다. ‘-습메’의 다른 형태로 ‘-습마’가 있는데, ‘-습마’는 평안 지역에서만 쓰인다. “이제야 골문 거이 터뎄구나, 보구레 고름이 이같이 많이 테데 나오디 않했습마.”(<한국구전설화> 평북편)

‘-습메’와 같이 ‘-습데’가 쓰이기도 하는데, ‘-습데’는 ‘-습메’와 마찬가지로 옛말 ‘-습데이다’의 ‘-이다’가 탈락한 형태다. “우리가 지금 집구석에 들어앉아 물계를 모르니 그렇지 별의별 일이 다 있습데.”(<영원한 미소> 김수범)

‘-습메’와 ‘-습데’ 대응하는 높임말은 ‘-습메다’와 ‘-습데다’다. ‘-습메다’는 ‘-습마’와는 반대로 함경 지역에서만 쓰이는 반면, ‘-습데다’는 평안·함경 두루 쓰인다. “지난밤에 사잇섬에 강 게 앙이라 강 건너에 갔습메다.”(<북간도> 안수길) “몸을 풀고도 미역국은커녕 죽물 한 사발 배불리 먹지 못하구 피덩이 같은 것을 내게 맡기구 갔습데다.”(<송가> 림재성)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8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5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364
2864 바바리 바람의종 2009.03.23 7580
2863 뻐꾸기 바람의종 2009.03.24 7142
2862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409
»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75
2860 모디리 바람의종 2009.03.27 6682
2859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298
2858 공작 바람의종 2009.03.30 5710
2857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59
2856 집이 갔슴둥? 바람의종 2009.03.31 6908
2855 빌레 바람의종 2009.03.31 6709
2854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439
2853 올빼미 바람의종 2009.04.03 7649
2852 스스로를? 바람의종 2009.04.09 5933
2851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675
2850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50
2849 삐라·찌라시 바람의종 2009.04.13 6320
2848 비둘기 바람의종 2009.04.14 6164
2847 험담 바람의종 2009.04.30 6777
2846 디려놓곡 내여놓곡 바람의종 2009.04.30 5687
2845 똥금이 바람의종 2009.05.01 6615
2844 파스 바람의종 2009.05.01 13004
2843 따오기 바람의종 2009.05.02 81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