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25 14:12

모두에게?

조회 수 5381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모두에게?

언어예절

시절 따라 쓰임이 조금씩 바뀌는 게 말이다. 전통적으로 ‘모두’는 어찌씨 곧 부사로 쓰였고, 국어사전에서도 그렇게 다뤘다.(큰사전·1957) 몇몇 낱말은 현실에서 두드러지게 ‘명사적’으로 쓰였고, 이를 무시할 수 없어 곁들이로 다루게 된다. 그러다 <표준국어대사전>(1999)에 이르면 ‘모두’ 풀이에서 명사를 독립시켜 앞세우고 보깃글을 내보인 뒤 곁들이로 ‘부사’ 갈래를 잡았다.

가끔 수효나 양을 싸잡아 강조하느라 토를 붙여 명사처럼 쓰긴 하지만 뜻으로나 기능에서 사개가 어긋난다. 숨도 거칠고 말이 튄다. 흐름이 순순하냐가 말의 됨됨이를 가리는 기준이 되는데, 이는 말이 제자리를 벗어나거나 꼴을 달리 했을 때 방해를 받게 된다.

모두에게, 모두가, 모두를, 모두는 …으로 쓰는 버릇은 다름아닌 영어나 그 번역문투에서 온 듯하다. 대체로 토를 떼거나 자리를 바꾸거나 딴 말로 손질해야 자연스럽다. 파격이 제격을 내쳐서야.

△우리 모두는→우리는 모두 △학생과 학부모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학생과 학부모 두루 ~. △그 부담은 국민 모두의 몫이다→~ 국민의 몫이다. △남북 모두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남북에 두루 큰 ~. △모두에게 행복한 결론은 없다→모든 이에게 행복한 ~. △국민 모두가 자신감을 잃고→국민 모두 자신감을 잃고. △외국에서 들여온 것 모두를 ‘무균실’을 통과하게 만들겠다→ ~ 들여온 것을 모두 ~.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0078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6609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1606
    read more
  4. 명태, 이면수/임연수

    Date2008.07.06 By바람의종 Views11107
    Read More
  5. 명태의 이름

    Date2010.05.05 By바람의종 Views10556
    Read More
  6. 몇과 수

    Date2010.10.11 By바람의종 Views7842
    Read More
  7. 몇일, 며칠

    Date2008.09.26 By바람의종 Views6694
    Read More
  8. 모기버섯, 봉양버섯

    Date2009.11.19 By바람의종 Views13610
    Read More
  9. 모두에게?

    Date2009.03.25 By바람의종 Views5381
    Read More
  10. 모둠, 모듬

    Date2009.10.08 By바람의종 Views10083
    Read More
  11. 모디리

    Date2009.03.27 By바람의종 Views6656
    Read More
  12. 모량리와 모량부리

    Date2008.07.24 By바람의종 Views6718
    Read More
  13. 모르지비!

    Date2009.03.23 By바람의종 Views6014
    Read More
  14. 모리배

    Date2007.07.02 By바람의종 Views16510
    Read More
  15. 모밀국수

    Date2009.02.12 By바람의종 Views6309
    Read More
  16. 모밀국수, 메밀국수, 소바

    Date2009.08.07 By바람의종 Views9917
    Read More
  17. 모순

    Date2007.07.03 By바람의종 Views5771
    Read More
  18. 모시는 글

    Date2008.04.27 By바람의종 Views17171
    Read More
  19. 모아지다

    Date2008.11.25 By바람의종 Views7528
    Read More
  20. 모음의 짜임새

    Date2008.01.06 By바람의종 Views5784
    Read More
  21. 모자르다, 모자라다, 모잘라, 모자른, 모잘른

    Date2010.06.01 By바람의종 Views25267
    Read More
  22. 모하구로?

    Date2009.06.11 By바람의종 Views5870
    Read More
  23. 모호하다 / 금쪽이

    Date2023.10.11 By風文 Views1165
    Read More
  24.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Date2013.03.28 By윤안젤로 Views19771
    Read More
  25. 목재가구 / 목제가구

    Date2009.11.23 By바람의종 Views1320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