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24 21:31

뻐꾸기

조회 수 712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뻐꾸기

짐승이름

“낮에 우는 뻐꾸기와 밤에 우는 두견이도 저 아무개와 같이 돌아갈 수 없는 신세여서 저렇게 우짖는가. 아무개가 저승사자를 따라서 수천 리를 가다 보니 커다란 산이 우뚝 길을 막고 서네. 그 산은 바람도 쉬어가고 석가세존도 머리 깎고 쉬어 가던 단발령이라네 ….”(서산 무속신화)

 한 번 가면 다시 오지 못하는 죽은 사람의 원통함을 풀어주려는 산 사람들의 바람을 노래한 것이다. 이 전설은, 뻐꾸기와 두견새는 살기 좋은 곳을 떠돌다가 이땅에 터를 잡고서 돌아가지 못하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달래려고 그리 운다는 사연이다. 저승으로 간 이의 영혼이 마치 새들의 신세와 같음을 은유적으로 드러낸 것이다. 죽은 이의 영혼이 뻐꾸기로 환생하여 울음으로써 애달프게 호소한다. 일종의 윤회라고 할까. 때로 뻐꾸기는 우리가 바라는 이상향을 상징하는 파랑새로 등장하기도 한다.

“날아가리 내 아가의 곁으로 돌아가리. 뻐꾹새가 많이 날아와 우는 동리”(<뻐국새 우는 마을>·장만영)

 옛말에 뻐꾸기는 ‘버곡댱이, 버국새, 버국이, 벅국이, 벅국새’ 등으로 나온다. 고려의 노래 유구곡(維鳩曲)에는 ‘버곡댱이’로 나온다. 한자로 적어 포곡(布穀·역어유해)이라 했으니 풍년에 대한 기원을 드러낸 셈이다. 새들의 이름 가운데는 소리시늉 이름이 많다. 뻐꾹새 또한 우는 소리를 ‘뻐꾹’으로 적고 거기에 접미사 ‘-이’를 붙여 연철한 것으로 보인다.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3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68
576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63
575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387
» 뻐꾸기 바람의종 2009.03.24 7126
573 바바리 바람의종 2009.03.23 7553
572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172
571 모르지비! 바람의종 2009.03.23 6014
570 옳은 말씀 바람의종 2009.03.18 7870
569 바람의종 2009.03.18 5200
568 뽀록나다 바람의종 2009.03.17 8238
567 바우덕이 바람의종 2009.03.16 6686
566 허망헙디다 바람의종 2009.03.14 6692
565 원-달러 바람의종 2009.03.08 7266
564 두루미 바람의종 2009.03.04 6458
563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297
562 덩어쇠 바람의종 2009.03.03 6126
561 왔수다! 바람의종 2009.03.03 5794
560 돈놀이 바람의종 2009.03.01 7087
559 부엉이 바람의종 2009.03.01 6256
558 악플 바람의종 2009.02.22 6720
557 무거리 바람의종 2009.02.21 6601
556 교과서 바람의종 2009.02.20 5504
555 니자테 너인테 바람의종 2009.02.20 64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