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8 04:21

옳은 말씀

조회 수 7897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옳은 말씀

언어예절

높여서 하는 ‘말씀’이 있고 낮추어 하는 ‘말씀’이 있다. 말씀은 이처럼 두 길로 쓰인다. 흔히 ‘옳으신 말씀’이라고 한다. 이는 ‘옳게 하신 말씀’ 정도로 이해하고 넘긴다. ‘지당하신 말씀, 지엄하신 분부, 명쾌하신 지적, 적절하신 코멘트 …’들도 그렇다. ‘옳으신, 명쾌하신 …’을 넣어 말하면 ‘말씀·분부·지적 …’을 높이는 형식이 된다. 겹치기여서 듣기에 따라 낯간지럽고 거추장스럽다.

주체가 아닌 그와 관계되는 사물을 높이는 방식이 있다. ‘선생님 말씀이 계시겠습니다’가 아닌 ‘선생님 말씀이 있으시겠습니다’가 적절하다는 얘기다. 곧, ‘말씀’을 사람처럼 높이기는 어려우니까 ‘있다’에 ‘시’를 붙인 ‘있으시겠습니다’를 쓰는데, 이를 ‘간접높임’이라 한다.

간접이든 직접이든 그 사람과 관련된 사물까지 높이는 것은 부자연스럽다. 형용사에 높임어미 ‘시’를 넣어 사물을 꾸밀 때가 특히 그렇다. ‘옳은 말씀, 지엄한 분부, 명쾌한 지적 …’으로도 충분하다. 한편으로, 말을 끝맺을 때는 자연스럽다. 아름답습니다/아름다우십니다, 좋겠습니다/좋으시겠습니다, 옳습니다/옳으십니다 …처럼 말이다.

하느님이나 옛날의 임금 등 지극히 높은 이라면 그와 관련된 사물도 높여서 말할 수 있을 터이나 이는 예외다. 현대 들어 우리 높임말법에서 부정적으로 여겨지는 쪽은 이처럼 겹쳐서 높이거나 그로써 비아냥거리는 느낌을 주는 쓰임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6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26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012
1390 맞히다와 맞추다 바람의종 2010.02.06 10742
1389 건달 바람의종 2010.02.06 7309
1388 쓰이다, 쓰여, 씐 바람의종 2010.02.06 8309
1387 비싼 돈, 싼 돈 바람의종 2010.02.06 7560
1386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901
1385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640
1384 시체,사체,송장,주검,시신 바람의종 2010.02.07 11330
1383 새의 꼬리 바람의종 2010.02.07 8461
1382 여운을 남기다 바람의종 2010.02.07 10606
1381 백지 와 그라노! 바람의종 2010.02.08 7223
1380 북녘의 속담 바람의종 2010.02.08 8498
1379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224
1378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30
1377 박스오피스 바람의종 2010.02.08 8590
1376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91
1375 파고다 바람의종 2010.02.09 11828
1374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80
1373 관형사 바람의종 2010.02.09 10497
1372 학을 떼다, 염병, 지랄 바람의종 2010.02.09 19319
1371 꽁수, 꼼수, 뽀록나다 바람의종 2010.02.09 9783
1370 치르다·치루다 바람의종 2010.02.12 13163
1369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