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8 04:21

옳은 말씀

조회 수 785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옳은 말씀

언어예절

높여서 하는 ‘말씀’이 있고 낮추어 하는 ‘말씀’이 있다. 말씀은 이처럼 두 길로 쓰인다. 흔히 ‘옳으신 말씀’이라고 한다. 이는 ‘옳게 하신 말씀’ 정도로 이해하고 넘긴다. ‘지당하신 말씀, 지엄하신 분부, 명쾌하신 지적, 적절하신 코멘트 …’들도 그렇다. ‘옳으신, 명쾌하신 …’을 넣어 말하면 ‘말씀·분부·지적 …’을 높이는 형식이 된다. 겹치기여서 듣기에 따라 낯간지럽고 거추장스럽다.

주체가 아닌 그와 관계되는 사물을 높이는 방식이 있다. ‘선생님 말씀이 계시겠습니다’가 아닌 ‘선생님 말씀이 있으시겠습니다’가 적절하다는 얘기다. 곧, ‘말씀’을 사람처럼 높이기는 어려우니까 ‘있다’에 ‘시’를 붙인 ‘있으시겠습니다’를 쓰는데, 이를 ‘간접높임’이라 한다.

간접이든 직접이든 그 사람과 관련된 사물까지 높이는 것은 부자연스럽다. 형용사에 높임어미 ‘시’를 넣어 사물을 꾸밀 때가 특히 그렇다. ‘옳은 말씀, 지엄한 분부, 명쾌한 지적 …’으로도 충분하다. 한편으로, 말을 끝맺을 때는 자연스럽다. 아름답습니다/아름다우십니다, 좋겠습니다/좋으시겠습니다, 옳습니다/옳으십니다 …처럼 말이다.

하느님이나 옛날의 임금 등 지극히 높은 이라면 그와 관련된 사물도 높여서 말할 수 있을 터이나 이는 예외다. 현대 들어 우리 높임말법에서 부정적으로 여겨지는 쪽은 이처럼 겹쳐서 높이거나 그로써 비아냥거리는 느낌을 주는 쓰임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50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96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012
1390 시옷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05.09 9462
1389 삘건색 바람의종 2010.06.08 9464
1388 진보적 바람의종 2009.11.19 9467
1387 중화사상 바람의종 2007.12.21 9477
1386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480
1385 집중호우 -> 장대비 바람의종 2012.06.22 9481
1384 ~답다, ~스럽다 바람의종 2010.11.21 9490
1383 ‘하므로’와 ‘함으로’ 바람의종 2009.12.04 9491
1382 구별과 구분 바람의종 2010.11.02 9492
1381 미주알고주알 밑두리콧두리 바람의종 2010.01.22 9493
1380 라면 바람의종 2010.05.10 9496
1379 -화하다, -화되다 바람의종 2009.08.07 9498
1378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04
1377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11
1376 막역/막연, 모사/묘사 바람의종 2008.06.13 9511
1375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14
1374 라틴아메리카 언어 바람의종 2008.02.18 9519
1373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21
1372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22
1371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525
1370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27
1369 ~같이 바람의종 2010.05.10 95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