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8 04:21

옳은 말씀

조회 수 786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옳은 말씀

언어예절

높여서 하는 ‘말씀’이 있고 낮추어 하는 ‘말씀’이 있다. 말씀은 이처럼 두 길로 쓰인다. 흔히 ‘옳으신 말씀’이라고 한다. 이는 ‘옳게 하신 말씀’ 정도로 이해하고 넘긴다. ‘지당하신 말씀, 지엄하신 분부, 명쾌하신 지적, 적절하신 코멘트 …’들도 그렇다. ‘옳으신, 명쾌하신 …’을 넣어 말하면 ‘말씀·분부·지적 …’을 높이는 형식이 된다. 겹치기여서 듣기에 따라 낯간지럽고 거추장스럽다.

주체가 아닌 그와 관계되는 사물을 높이는 방식이 있다. ‘선생님 말씀이 계시겠습니다’가 아닌 ‘선생님 말씀이 있으시겠습니다’가 적절하다는 얘기다. 곧, ‘말씀’을 사람처럼 높이기는 어려우니까 ‘있다’에 ‘시’를 붙인 ‘있으시겠습니다’를 쓰는데, 이를 ‘간접높임’이라 한다.

간접이든 직접이든 그 사람과 관련된 사물까지 높이는 것은 부자연스럽다. 형용사에 높임어미 ‘시’를 넣어 사물을 꾸밀 때가 특히 그렇다. ‘옳은 말씀, 지엄한 분부, 명쾌한 지적 …’으로도 충분하다. 한편으로, 말을 끝맺을 때는 자연스럽다. 아름답습니다/아름다우십니다, 좋겠습니다/좋으시겠습니다, 옳습니다/옳으십니다 …처럼 말이다.

하느님이나 옛날의 임금 등 지극히 높은 이라면 그와 관련된 사물도 높여서 말할 수 있을 터이나 이는 예외다. 현대 들어 우리 높임말법에서 부정적으로 여겨지는 쪽은 이처럼 겹쳐서 높이거나 그로써 비아냥거리는 느낌을 주는 쓰임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68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16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189
576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61
575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376
574 뻐꾸기 바람의종 2009.03.24 7118
573 바바리 바람의종 2009.03.23 7544
572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167
571 모르지비! 바람의종 2009.03.23 6014
» 옳은 말씀 바람의종 2009.03.18 7863
569 바람의종 2009.03.18 5199
568 뽀록나다 바람의종 2009.03.17 8234
567 바우덕이 바람의종 2009.03.16 6686
566 허망헙디다 바람의종 2009.03.14 6652
565 원-달러 바람의종 2009.03.08 7266
564 두루미 바람의종 2009.03.04 6458
563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272
562 덩어쇠 바람의종 2009.03.03 6126
561 왔수다! 바람의종 2009.03.03 5794
560 돈놀이 바람의종 2009.03.01 7082
559 부엉이 바람의종 2009.03.01 6255
558 악플 바람의종 2009.02.22 6701
557 무거리 바람의종 2009.02.21 6573
556 교과서 바람의종 2009.02.20 5493
555 니자테 너인테 바람의종 2009.02.20 64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