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7 03:18

뽀록나다

조회 수 825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뽀록나다

외래어

‘선의의 거짓말’이라는 표현이 있다. 상대방을 기분 나쁘지 않게 하거나 일이 너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즉, 그 거짓말로써 전체적인 상황이 더 좋아지거나 또는 더 나빠지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될 때 나쁘 잖은 뜻의 거짓말을 하게 된다. 우리는 이런 정도의 거짓말이 아니면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한다고 배운다. 그러나 살면서 자기 잘못을 덮고자 혹은 자기에게 유리하도록, 또 남을 괴롭히고자 배우지 않은 방향의 언행을 하는 이가 있기 마련이다. 어떤 나라나 사회가 건실하게 유지되고자 할 때 가장 큰 문제는 그런 이가 얼마나 많고 적으냐일 것이다.

거짓과 연관된 여러 말 가운데 ‘뽀록나다’ 또는 ‘뽀록이 나다’는 ‘감추어둔 비밀이나 이미 했던 거짓말이 드러나다’ 정도의 뜻으로 쓰이는 비속어 부류에 속한다. ‘뽀록’은 고유어처럼 느껴지지만 일본어 ‘보로’(ぼろ[襤褸])에서 왔다는 주장이 강하다. ‘보로’는 ‘넝마’나 ‘누더기’, ‘고물’이라는 뜻으로 출발해서 ‘허술한 점’, ‘결점’ 등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고 일본어 사전에 설명되어 있다. ‘보로가 데루’(ぼろが で[出]る)는 ‘단점이 드러나다’는 뜻이 되니, 직관적으로 볼 때 그 뜻이 우리의 쓰임새처럼 번질 수도 있어 보이고, ‘뽀록이 나다’라는 표현과 어휘 구성이 대응된다는 점 때문에 일본어 ‘보로’가 ‘뽀록’의 기원이라고 믿는 듯하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7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3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319
1896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664
1895 선낱 도고! file 바람의종 2010.03.13 10302
1894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409
1893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940
1892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661
1891 서툴러와 서툴어 바람의종 2010.09.08 11737
1890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544
1889 서울 風磬 2007.01.19 7487
1888 서식지, 군락지, 군집, 자생지 바람의종 2012.11.30 21030
1887 서슴치 않고 / 통털어 바람의종 2008.12.12 11269
1886 서방님 바람의종 2007.05.12 8574
1885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8030
1884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57
1883 서낭당 風磬 2006.12.29 7981
1882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260
1881 서나서나 허소! file 바람의종 2009.12.14 8804
1880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803
1879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38
1878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66
1877 생선, 생파 바람의종 2010.11.16 11320
1876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297
1875 생사여탈권 바람의종 2008.11.03 66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