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7 03:18

뽀록나다

조회 수 826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뽀록나다

외래어

‘선의의 거짓말’이라는 표현이 있다. 상대방을 기분 나쁘지 않게 하거나 일이 너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즉, 그 거짓말로써 전체적인 상황이 더 좋아지거나 또는 더 나빠지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될 때 나쁘 잖은 뜻의 거짓말을 하게 된다. 우리는 이런 정도의 거짓말이 아니면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한다고 배운다. 그러나 살면서 자기 잘못을 덮고자 혹은 자기에게 유리하도록, 또 남을 괴롭히고자 배우지 않은 방향의 언행을 하는 이가 있기 마련이다. 어떤 나라나 사회가 건실하게 유지되고자 할 때 가장 큰 문제는 그런 이가 얼마나 많고 적으냐일 것이다.

거짓과 연관된 여러 말 가운데 ‘뽀록나다’ 또는 ‘뽀록이 나다’는 ‘감추어둔 비밀이나 이미 했던 거짓말이 드러나다’ 정도의 뜻으로 쓰이는 비속어 부류에 속한다. ‘뽀록’은 고유어처럼 느껴지지만 일본어 ‘보로’(ぼろ[襤褸])에서 왔다는 주장이 강하다. ‘보로’는 ‘넝마’나 ‘누더기’, ‘고물’이라는 뜻으로 출발해서 ‘허술한 점’, ‘결점’ 등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고 일본어 사전에 설명되어 있다. ‘보로가 데루’(ぼろが で[出]る)는 ‘단점이 드러나다’는 뜻이 되니, 직관적으로 볼 때 그 뜻이 우리의 쓰임새처럼 번질 수도 있어 보이고, ‘뽀록이 나다’라는 표현과 어휘 구성이 대응된다는 점 때문에 일본어 ‘보로’가 ‘뽀록’의 기원이라고 믿는 듯하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43
1896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2.23 8322
1895 공멸 바람의종 2009.07.22 8322
1894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323
1893 마름질 바람의종 2009.07.25 8324
1892 우연찮게 바람의종 2010.04.26 8325
1891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331
1890 갯벌, 개펄 바람의종 2008.10.17 8331
1889 ~는가 알아보다 바람의종 2009.09.27 8340
1888 겨울 바람의종 2008.01.07 8341
1887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41
1886 뽑다와 캐다 바람의종 2008.01.26 8343
1885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54
1884 마누라 風磬 2006.11.26 8365
1883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67
1882 현수막, 횡단막 바람의종 2008.08.08 8378
1881 조사됐다 바람의종 2010.04.25 8380
1880 일본식 용어 - 가 바람의종 2008.03.01 8383
1879 쿠테타, 앰플, 바리케이트, 카바이드 바람의종 2009.06.11 8387
1878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388
1877 커브길 바람의종 2010.01.19 8391
1876 빈소와 분향소 바람의종 2010.09.08 8396
1875 이같이, 이 같은 바람의종 2008.11.29 83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