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7 03:18

뽀록나다

조회 수 829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뽀록나다

외래어

‘선의의 거짓말’이라는 표현이 있다. 상대방을 기분 나쁘지 않게 하거나 일이 너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즉, 그 거짓말로써 전체적인 상황이 더 좋아지거나 또는 더 나빠지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될 때 나쁘 잖은 뜻의 거짓말을 하게 된다. 우리는 이런 정도의 거짓말이 아니면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한다고 배운다. 그러나 살면서 자기 잘못을 덮고자 혹은 자기에게 유리하도록, 또 남을 괴롭히고자 배우지 않은 방향의 언행을 하는 이가 있기 마련이다. 어떤 나라나 사회가 건실하게 유지되고자 할 때 가장 큰 문제는 그런 이가 얼마나 많고 적으냐일 것이다.

거짓과 연관된 여러 말 가운데 ‘뽀록나다’ 또는 ‘뽀록이 나다’는 ‘감추어둔 비밀이나 이미 했던 거짓말이 드러나다’ 정도의 뜻으로 쓰이는 비속어 부류에 속한다. ‘뽀록’은 고유어처럼 느껴지지만 일본어 ‘보로’(ぼろ[襤褸])에서 왔다는 주장이 강하다. ‘보로’는 ‘넝마’나 ‘누더기’, ‘고물’이라는 뜻으로 출발해서 ‘허술한 점’, ‘결점’ 등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고 일본어 사전에 설명되어 있다. ‘보로가 데루’(ぼろが で[出]る)는 ‘단점이 드러나다’는 뜻이 되니, 직관적으로 볼 때 그 뜻이 우리의 쓰임새처럼 번질 수도 있어 보이고, ‘뽀록이 나다’라는 표현과 어휘 구성이 대응된다는 점 때문에 일본어 ‘보로’가 ‘뽀록’의 기원이라고 믿는 듯하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7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3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179
2886 시치미를 떼다 바람의종 2008.01.18 10703
2885 신물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18 17507
2884 압록강과 마자수 바람의종 2008.01.18 6980
2883 성별 문법 바람의종 2008.01.18 7009
2882 윽박 바람의종 2008.01.18 10419
2881 심금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9 13219
2880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59
2879 말과 글 바람의종 2008.01.19 4237
2878 며느리밥풀 바람의종 2008.01.19 6086
2877 안시성과 아골관 바람의종 2008.01.19 6843
2876 씨가 먹히다 바람의종 2008.01.20 8543
2875 씨알머리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0 8014
2874 말차례 바람의종 2008.01.20 488861
2873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473
2872 달맞이꽃 바람의종 2008.01.20 6486
2871 아닌 밤중에 홍두깨 바람의종 2008.01.21 11764
2870 아퀴를 짓다 바람의종 2008.01.21 13355
2869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824
2868 악머구리 끓듯 한다 바람의종 2008.01.22 10152
2867 안절부절 못하다 바람의종 2008.01.22 7357
2866 인사말 바람의종 2008.01.22 9011
2865 소젖 바람의종 2008.01.22 65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