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6 07:22

바우덕이

조회 수 667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바우덕이

사람이름

세조 10년(1464년), ‘김바회’(金把回)를 비롯한 중국사람 스무 명이 야인에게 잡혀갔다가 조선으로 도망쳐 왔다. 이에 통사 장유화를 딸려 보내 요동에 가서 풀어주도록 했다. 중국 사람이름에도 ‘바회’가 보이는 것이 특이하다. 옛말 바회는 요즘의 ‘바위’와 ‘바퀴’를 더불어 일컬으며 ‘ㅎ’이 꼭 들어 있었다. ‘바회’가 든 이름에 ‘바회·바회덩이·감바회·먹바회·벌바회·연바회’가 있다.

19세기 들어 ‘바회’(巖)는 ‘바위’가 되었다. 남쪽에서 ‘바우’라는 말이 널리 쓰이며, 경상도에서 ‘방우/방구·바구’, 전라 지역에서 ‘바위옷’을 ‘바구옷’이라 하므로 본디 ‘바구’라는 말에서 ‘바회’, 다시 ‘바위’로 바뀌었을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바위는 고구려 땅이름에서 ‘바의’, 신라 향가에서는 ‘바호/바오’(岩乎)라 했다.

거문도 동쪽 백도에 가면 ‘매바위·병풍바위·서방바위·쌍돛대바위’들이 있다. 어떤 모양을 이룬 바위너설도 ‘바위’, ‘흔들바위’처럼 떨어져 나온 것도 ‘바위/바윗덩이’라 한다. ‘돌’은 암석을 두루 일컫는다. 대한제국 때 ‘김바우덕’(金巖德)은 미모의 꼭두쇠로, ‘어름산이’(어름사니)로 이름을 떨쳤다. 그를 기린 안성의 바우덕이 축제는 ‘안성맞춤’ 축제가 되었다. ‘길산이·울음산이’에 쓰인 이름접미사 ‘산’이 줄타기 명인인 ‘어름산이’에 보이는 것도 흥미롭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60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0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170
1478 속앓이 바람의종 2009.09.26 11882
1477 속풀이 바람의종 2010.11.03 10434
1476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08.01.17 8779
1475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47
1474 손가락방아 바람의종 2008.06.09 7952
1473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068
1472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40
1471 솔새 바람의종 2009.07.06 7083
1470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32
1469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653
1468 송고리 바람의종 2009.07.07 7342
1467 송곳니 바람의종 2010.08.11 10376
1466 송글송글, 송긋송긋 바람의종 2012.04.30 13611
1465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4 5483
1464 쇠고기 바람의종 2012.04.30 10007
1463 쇠고기와 소고기 바람의종 2010.05.08 11431
1462 쇠다와 쉬다 바람의종 2010.04.17 14332
1461 쇠뜨기 바람의종 2008.01.15 7115
1460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27
1459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605
1458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14
1457 쇠죽 바람의종 2008.01.10 86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