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6 07:22

바우덕이

조회 수 6673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바우덕이

사람이름

세조 10년(1464년), ‘김바회’(金把回)를 비롯한 중국사람 스무 명이 야인에게 잡혀갔다가 조선으로 도망쳐 왔다. 이에 통사 장유화를 딸려 보내 요동에 가서 풀어주도록 했다. 중국 사람이름에도 ‘바회’가 보이는 것이 특이하다. 옛말 바회는 요즘의 ‘바위’와 ‘바퀴’를 더불어 일컬으며 ‘ㅎ’이 꼭 들어 있었다. ‘바회’가 든 이름에 ‘바회·바회덩이·감바회·먹바회·벌바회·연바회’가 있다.

19세기 들어 ‘바회’(巖)는 ‘바위’가 되었다. 남쪽에서 ‘바우’라는 말이 널리 쓰이며, 경상도에서 ‘방우/방구·바구’, 전라 지역에서 ‘바위옷’을 ‘바구옷’이라 하므로 본디 ‘바구’라는 말에서 ‘바회’, 다시 ‘바위’로 바뀌었을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바위는 고구려 땅이름에서 ‘바의’, 신라 향가에서는 ‘바호/바오’(岩乎)라 했다.

거문도 동쪽 백도에 가면 ‘매바위·병풍바위·서방바위·쌍돛대바위’들이 있다. 어떤 모양을 이룬 바위너설도 ‘바위’, ‘흔들바위’처럼 떨어져 나온 것도 ‘바위/바윗덩이’라 한다. ‘돌’은 암석을 두루 일컫는다. 대한제국 때 ‘김바우덕’(金巖德)은 미모의 꼭두쇠로, ‘어름산이’(어름사니)로 이름을 떨쳤다. 그를 기린 안성의 바우덕이 축제는 ‘안성맞춤’ 축제가 되었다. ‘길산이·울음산이’에 쓰인 이름접미사 ‘산’이 줄타기 명인인 ‘어름산이’에 보이는 것도 흥미롭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0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6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675
1478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223
1477 댕기풀이 바람의종 2010.08.29 9223
1476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24
1475 오부리 바람의종 2009.07.08 9226
1474 미셸, 섀도 바람의종 2010.04.24 9227
1473 괴나리봇짐, 쇠털, 괴발개발 바람의종 2008.05.23 9228
1472 동백꽃 바람의종 2010.07.09 9229
1471 -씩 바람의종 2010.01.23 9233
1470 바람의종 2012.07.27 9233
1469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238
1468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08.01.10 9238
1467 싸드락싸드락 묵소! 바람의종 2009.11.23 9239
1466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240
1465 책갈피 바람의종 2010.10.06 9241
1464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246
1463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47
1462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47
1461 루즈 바람의종 2008.02.11 9257
1460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258
1459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262
1458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262
1457 바람 바람의종 2012.08.20 92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