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6 07:22

바우덕이

조회 수 6710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바우덕이

사람이름

세조 10년(1464년), ‘김바회’(金把回)를 비롯한 중국사람 스무 명이 야인에게 잡혀갔다가 조선으로 도망쳐 왔다. 이에 통사 장유화를 딸려 보내 요동에 가서 풀어주도록 했다. 중국 사람이름에도 ‘바회’가 보이는 것이 특이하다. 옛말 바회는 요즘의 ‘바위’와 ‘바퀴’를 더불어 일컬으며 ‘ㅎ’이 꼭 들어 있었다. ‘바회’가 든 이름에 ‘바회·바회덩이·감바회·먹바회·벌바회·연바회’가 있다.

19세기 들어 ‘바회’(巖)는 ‘바위’가 되었다. 남쪽에서 ‘바우’라는 말이 널리 쓰이며, 경상도에서 ‘방우/방구·바구’, 전라 지역에서 ‘바위옷’을 ‘바구옷’이라 하므로 본디 ‘바구’라는 말에서 ‘바회’, 다시 ‘바위’로 바뀌었을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바위는 고구려 땅이름에서 ‘바의’, 신라 향가에서는 ‘바호/바오’(岩乎)라 했다.

거문도 동쪽 백도에 가면 ‘매바위·병풍바위·서방바위·쌍돛대바위’들이 있다. 어떤 모양을 이룬 바위너설도 ‘바위’, ‘흔들바위’처럼 떨어져 나온 것도 ‘바위/바윗덩이’라 한다. ‘돌’은 암석을 두루 일컫는다. 대한제국 때 ‘김바우덕’(金巖德)은 미모의 꼭두쇠로, ‘어름산이’(어름사니)로 이름을 떨쳤다. 그를 기린 안성의 바우덕이 축제는 ‘안성맞춤’ 축제가 되었다. ‘길산이·울음산이’에 쓰인 이름접미사 ‘산’이 줄타기 명인인 ‘어름산이’에 보이는 것도 흥미롭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0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63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336
2644 로드맵 바람의종 2010.02.15 6806
2643 ~로부터 바람의종 2008.11.21 6813
2642 사리 바람의종 2009.08.05 6816
2641 지향 바람의종 2007.08.22 6817
2640 굽신거리다 바람의종 2008.10.22 6817
2639 애로 바람의종 2007.07.31 6818
2638 사라져가는 언어(1) 바람의종 2007.10.26 6819
2637 세일, 리베이트 바람의종 2008.11.27 6821
2636 노루귀 바람의종 2008.02.04 6828
2635 연설 바람의종 2008.05.11 6834
2634 단말, 쓴말 바람의종 2008.06.15 6834
2633 허망헙디다 바람의종 2009.03.14 6835
2632 교복물림 바람의종 2008.07.03 6836
2631 깍두기 바람의종 2007.12.23 6837
2630 조바심하다 바람의종 2007.03.24 6837
2629 노다지 바람의종 2008.02.03 6839
2628 졸이다, 조리다 바람의종 2008.10.14 6840
2627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844
2626 버버리 코트 바람의종 2008.02.12 6847
2625 차이나 바람의종 2008.02.19 6848
2624 삼척동자 바람의종 2007.12.12 6850
2623 알아야 면장한다. 바람의종 2009.06.15 68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