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4 02:56

허망헙디다

조회 수 6707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허망헙디다

고장말

‘-수다’나 ‘-우다’가 표준어 ‘-습니다’에 대응하는 제주와 북녘말이라면, ‘-습디다’는 ‘-습니다’에 해당하는 말이다. “방죽 바닥에 물괴기가 기양 막 드글두글 헙디다. 시커매요.”(<혼불> 최명희) “내부둣시요. 뜨거우먼 지가 돌아 안 눌랍디여.”(<한국구비문학대계> 전남편) 표준말에도 ‘-습디다’가 있지만, 전라말 ‘-습디다’와는 다르다. 표준말 ‘-습디다’는 예사높임이지만, 전라말 ‘-습디다’는 아주 높이는 말이다.

표준말에서 ‘-습니다’의 의문형은 ‘-습니까’이지만, 전라말에서는 ‘-습디여’다. “음마, 다래가 폴세 익었습디여?”(<태백산맥> 조정래) “일이나 시길라먼 불릉게 그러겄지맹. 이뿌다고 씰어 줄라고 부를랍디여?”(<혼불> 최명희)

‘-습디여’의 또다른 형태는 ‘-읍딩겨/습딩겨’와 ‘-읍딘짜/습딘짜’다. ‘-습딩겨/읍딩겨’는 주로 전남 서부와 전북 서남부 쪽에서, ‘-읍딘짜/습딘짜’는 진도 쪽에서 쓴다. “아, 열 마리 잡어서 저 되는디 말여 한 마리 안 잡어 줬다고 그 안 잡어 줄랍딩겨?”(<한국구비문학대계> 전북편) “편히 주무셨소? 방일랑 안춥습딩겨?”(위 책 전남편) “그 전에 그 영감님을 사과(사귀어) 갖고 배를 한나 쬐깐한 것을 안 샀습딘짜?”

전남 남해안 쪽에서는 ‘-습디꺄’가 쓰이기도 한다. “은제 배 타고 나가라고 꾸물그리쌉디꺄?” “누가 나를 막을랍디꺄?”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5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186
114 ~로부터 바람의종 2008.11.21 6688
113 ~려, ~러 바람의종 2009.09.21 9806
112 ~라고 믿다 바람의종 2010.04.27 10903
111 ~라고 / ~고 바람의종 2012.01.24 13781
110 ~든 / ~던 바람의종 2011.11.27 10886
109 ~되겠, ~되세 바람의종 2009.03.30 6617
108 ~도 불구하고 바람의종 2012.10.02 11535
107 ~데 반해 / ~데 비해 바람의종 2010.02.28 17540
106 ~던가, ~든가 바람의종 2008.07.12 11989
105 ~대, ~데 바람의종 2011.12.04 13026
104 ~답다, ~스럽다 바람의종 2010.11.21 9545
103 ~다오, ~주라 바람의종 2011.12.05 8304
102 ~다 라고 말했다 바람의종 2010.03.15 12175
101 ~는가 알아보다 바람의종 2009.09.27 8336
100 ~노, ~나 바람의종 2010.09.05 8950
99 ~까지, ~조차, ~마저 바람의종 2009.03.23 11570
98 ~과 다름 아니다 바람의종 2008.11.01 9036
97 ~겠다, ~것다 바람의종 2010.07.10 10591
96 ~같이 바람의종 2010.05.10 9557
95 ~ㄴ 바 바람의종 2010.11.02 11210
94 ~ 화(化) 바람의종 2009.09.06 6910
93 ~ 시키다 바람의종 2008.12.10 93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