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4 02:56

허망헙디다

조회 수 6794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허망헙디다

고장말

‘-수다’나 ‘-우다’가 표준어 ‘-습니다’에 대응하는 제주와 북녘말이라면, ‘-습디다’는 ‘-습니다’에 해당하는 말이다. “방죽 바닥에 물괴기가 기양 막 드글두글 헙디다. 시커매요.”(<혼불> 최명희) “내부둣시요. 뜨거우먼 지가 돌아 안 눌랍디여.”(<한국구비문학대계> 전남편) 표준말에도 ‘-습디다’가 있지만, 전라말 ‘-습디다’와는 다르다. 표준말 ‘-습디다’는 예사높임이지만, 전라말 ‘-습디다’는 아주 높이는 말이다.

표준말에서 ‘-습니다’의 의문형은 ‘-습니까’이지만, 전라말에서는 ‘-습디여’다. “음마, 다래가 폴세 익었습디여?”(<태백산맥> 조정래) “일이나 시길라먼 불릉게 그러겄지맹. 이뿌다고 씰어 줄라고 부를랍디여?”(<혼불> 최명희)

‘-습디여’의 또다른 형태는 ‘-읍딩겨/습딩겨’와 ‘-읍딘짜/습딘짜’다. ‘-습딩겨/읍딩겨’는 주로 전남 서부와 전북 서남부 쪽에서, ‘-읍딘짜/습딘짜’는 진도 쪽에서 쓴다. “아, 열 마리 잡어서 저 되는디 말여 한 마리 안 잡어 줬다고 그 안 잡어 줄랍딩겨?”(<한국구비문학대계> 전북편) “편히 주무셨소? 방일랑 안춥습딩겨?”(위 책 전남편) “그 전에 그 영감님을 사과(사귀어) 갖고 배를 한나 쬐깐한 것을 안 샀습딘짜?”

전남 남해안 쪽에서는 ‘-습디꺄’가 쓰이기도 한다. “은제 배 타고 나가라고 꾸물그리쌉디꺄?” “누가 나를 막을랍디꺄?”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9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5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386
1456 승냥이 file 바람의종 2010.01.11 10825
1455 부릅뜨다 file 바람의종 2010.01.11 8826
1454 오고셍이 돌려줬수왕! file 바람의종 2010.01.11 7386
1453 긴장하다와 식반찬 바람의종 2010.01.11 9064
1452 트랜스 바람의종 2010.01.11 11167
1451 박빙, 살얼음 바람의종 2010.01.11 10955
1450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915
1449 안 본 지 바람의종 2010.01.14 7560
1448 대체나 그렇네 잉! 바람의종 2010.01.14 7990
1447 기록은 ‘경신’,계약은 ‘갱신’ 바람의종 2010.01.14 11053
1446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912
1445 부득이하게? ‘부득이’면 족하다 바람의종 2010.01.14 17520
1444 응큼, 엉큼, 앙큼 바람의종 2010.01.14 14030
1443 발음상의 특징 바람의종 2010.01.15 8133
1442 딤섬 바람의종 2010.01.15 8606
1441 개밥바라기 바람의종 2010.01.15 8287
1440 파열음 바람의종 2010.01.15 10247
1439 냄비, 남비 바람의종 2010.01.15 13454
1438 그저, 거저 바람의종 2010.01.15 7915
1437 말 비틀기(1) 바람의종 2010.01.18 9732
1436 거진 다 왔소! file 바람의종 2010.01.18 9755
1435 북한의 국화는 목란꽃 바람의종 2010.01.18 141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