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04 01:50

두루미

조회 수 647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두루미

짐승이름

“천 년 맺힌 시름을/ 출렁이는 물살도 없이/ 고운 강물이 흐르듯/ 학이 난다./ 천 년을 보던 눈이/ 천 년을 파닥거리던 날개가/ 또 한 번 천애에 맞부딪노나.”(학·서정주)

고구려 옛무덤에는 신선들이 학을 타고 다니는 벽화가 있다. 천 년을 살면 흰빛이 푸른빛으로 바뀌어 청학이 되고, 다시 천 년을 살면 검은빛으로 바뀌어 현학(玄鶴)이라 한다. 지리산에 가면 청학동이 있다는데, 그 청학이 산다는 곳이다. 상투를 틀고 전통적인 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대안교육의 터전으로 알려진 현재의 청학동과 세상을 버린 이들의 보금자리이자 예부터 전해오는 이상향으로서의 청학동이 같은 곳인지는 잘 알 수가 없다.

두루미의 옛말은 ‘두로미’(사성통해)였다. 두로미가 두루미로 바뀌어 쓰인다. 일본말로는 ‘쓰루’(鶴)이니 ‘두루-쓰루’가 대응됨을 알겠다. 우리말 ‘두루’가 건너가 ‘쓰루’(turu)로 굳어진 형태일 수 있다. 뚜루루 운다고 또는 두루 멀리 다닌다고 두루미라는 풀이도 있다. 그 울음소리를 들어보면 매우 날카롭고 위엄 있게 들릴뿐더러 흰 날개가 두루마기를 걸친 선비 모습과 같아 보인다. 머리는 붉고 검은 벼슬을 한 듯 고고하다. 먼 하늘을 소리와 품새를 두루 갖추고 유유히 날아가니 이를 뭉뚱그린 데서 나온 이름으로 보인다. 오늘도 두루미들은 하늘 어디쯤서 가을을 비끼어 날고 있을 텐데.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80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3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280
2886 나비나물 바람의종 2008.04.24 6002
2885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6005
2884 나이 바람의종 2009.06.01 6009
2883 사변 바람의종 2008.05.11 6010
2882 미망인 바람의종 2008.11.01 6014
2881 무더위 바람의종 2009.08.29 6014
2880 망년회(忘年會) 바람의종 2009.05.30 6015
2879 나아질른지 바람의종 2008.11.01 6018
2878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下) 바람의종 2008.06.23 6029
2877 악발이 바람의종 2009.05.25 6032
2876 모르지비! 바람의종 2009.03.23 6034
2875 안성마춤 바람의종 2008.10.23 6043
2874 미라 바람의종 2009.10.07 6048
2873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55
2872 얼레지 바람의종 2008.06.08 6057
2871 나수 좀 드소! file 바람의종 2009.07.28 6057
2870 대범한 도둑 바람의종 2009.07.16 6058
2869 먹거리,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11.16 6075
2868 계륵 바람의종 2007.06.02 6082
2867 청사 바람의종 2007.08.24 6083
2866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6084
2865 굴뚝새 바람의종 2009.07.08 60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