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04 01:50

두루미

조회 수 6508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두루미

짐승이름

“천 년 맺힌 시름을/ 출렁이는 물살도 없이/ 고운 강물이 흐르듯/ 학이 난다./ 천 년을 보던 눈이/ 천 년을 파닥거리던 날개가/ 또 한 번 천애에 맞부딪노나.”(학·서정주)

고구려 옛무덤에는 신선들이 학을 타고 다니는 벽화가 있다. 천 년을 살면 흰빛이 푸른빛으로 바뀌어 청학이 되고, 다시 천 년을 살면 검은빛으로 바뀌어 현학(玄鶴)이라 한다. 지리산에 가면 청학동이 있다는데, 그 청학이 산다는 곳이다. 상투를 틀고 전통적인 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대안교육의 터전으로 알려진 현재의 청학동과 세상을 버린 이들의 보금자리이자 예부터 전해오는 이상향으로서의 청학동이 같은 곳인지는 잘 알 수가 없다.

두루미의 옛말은 ‘두로미’(사성통해)였다. 두로미가 두루미로 바뀌어 쓰인다. 일본말로는 ‘쓰루’(鶴)이니 ‘두루-쓰루’가 대응됨을 알겠다. 우리말 ‘두루’가 건너가 ‘쓰루’(turu)로 굳어진 형태일 수 있다. 뚜루루 운다고 또는 두루 멀리 다닌다고 두루미라는 풀이도 있다. 그 울음소리를 들어보면 매우 날카롭고 위엄 있게 들릴뿐더러 흰 날개가 두루마기를 걸친 선비 모습과 같아 보인다. 머리는 붉고 검은 벼슬을 한 듯 고고하다. 먼 하늘을 소리와 품새를 두루 갖추고 유유히 날아가니 이를 뭉뚱그린 데서 나온 이름으로 보인다. 오늘도 두루미들은 하늘 어디쯤서 가을을 비끼어 날고 있을 텐데.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5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1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034
1104 뒤처지다 /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3.27 13278
1103 뒤처리 / 뒷처리 바람의종 2008.06.07 20433
1102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風文 2022.08.23 1466
1101 뒤웅스럽다 風磬 2006.11.16 7614
1100 둥글레 바람의종 2008.05.10 7541
1099 둥개다 바람의종 2010.03.12 11861
1098 둔지말 당두둑 바람의종 2008.07.10 7333
1097 두사부일체 (일체/일절) 바람의종 2008.04.23 7774
1096 두문불출 바람의종 2007.11.01 8905
1095 두만강과 여진어 바람의종 2008.02.14 8729
1094 두리뭉실 바람의종 2008.11.29 10483
1093 두루치기 바람의종 2009.05.25 11388
» 두루미 바람의종 2009.03.04 6508
1091 두루뭉수리 風磬 2006.11.16 7886
1090 두루 흐린 온누리 바람의종 2013.01.04 21121
1089 두런·가라치 바람의종 2008.07.06 7265
1088 두더지 바람의종 2008.12.15 6432
1087 두껍다, 두텁다 바람의종 2010.08.19 12134
1086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565
1085 두꺼비 바람의종 2009.09.06 6137
1084 된장녀 바람의종 2007.12.24 6992
1083 된장녀 바람의종 2010.07.20 92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