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03 16:36

덩어쇠

조회 수 6144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덩어쇠

사람이름

임진왜란 때 궁궐이 거의 불탔다. 광해군 때 많은 궁궐이 다시 지어졌다. 창덕궁이 폐위된 단종과 연산군이 있었던 곳이라 하여 광해군은 매우 꺼렸다. 이에 경복궁 서쪽 인왕산 아래에 새로이 궁궐을 지으니 바로 인경궁이다. 1622년, 광해군은 인경궁을 지은 도편수 ‘이덩손’(李加應孫)을 만났다. “종묘와 궁궐을 지을 때 공로가 많았는데 이제 보니 많이 늙었구려. 당상관으로 벼슬을 올리고 군직을 주도록 하겠소” 하였다.

‘덩’(加應)이 든 이름에 ‘덩이·덩기·덩뇽이·덩복이·덩어리·덩어쇠·덩쇠·덩이쇠·덩지·덩지쇠’도 있다. 크게 뭉쳐서 이루어진 것은 ‘덩어리’, 작게 뭉쳐서 이루어진 것은 ‘덩이’라 한다. 두 말은 ‘골칫덩어리/골칫덩이·심술덩어리/심술덩이’처럼 이를 때도 쓰인다. 오랑캐 사람이름에 ‘덩거리’가 있는데 ‘덩어리’의 고장말에 해당한다.

‘덩지’는 ‘덩이/덩어리’의 부피, ‘덩치’는 몸집을 이른다. 사람이름 ‘덩지’는 ‘덩치’ 뜻으로 쓰인 듯하고 ‘덩지쇠’는 덩치가 있었던 모양이다. ‘덩어쇠’(加應於金)는 ‘덩어리’와 ‘쇠’가 더해진 ‘덩얼쇠’에서 ‘ㅅ’ 앞에서 ‘ㄹ’이 떨어져 나간 결과다. 요즘 제련된 쇠는 긴 판을 만들어 코일(롤)로 판다. 삼국 때는 가운데가 잘록한 쇠판(=철정=판상철부=덩이쇠) 여러 개를 한 덩어리로 묶어 팔았다. ‘덩어쇠·덩쇠’는 덩이쇠와 비슷한 말인 듯하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2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7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737
1456 떠벌리다/떠벌이다 바람의종 2009.03.17 10689
1455 넉넉지/넉넉치 바람의종 2009.03.17 14643
1454 뽀록나다 바람의종 2009.03.17 8296
1453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29
1452 독립과 해방 바람의종 2009.03.16 7002
1451 혼신을 쏟다 바람의종 2009.03.16 7905
1450 바우덕이 바람의종 2009.03.16 6706
1449 납량 바람의종 2009.03.14 6886
1448 ~에 의해 바람의종 2009.03.14 7008
1447 올갱이, 다슬기 바람의종 2009.03.14 11195
1446 허망헙디다 바람의종 2009.03.14 6811
1445 일사불란 / 사달 / 사단 바람의종 2009.03.08 11802
1444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285
1443 성과 이름 바람의종 2009.03.08 7551
1442 원-달러 바람의종 2009.03.08 7277
1441 삼복더위 바람의종 2009.03.04 8183
1440 눈살, 등쌀 바람의종 2009.03.04 7530
1439 방짜 유기 바람의종 2009.03.04 8284
1438 두루미 바람의종 2009.03.04 6498
1437 호칭과 예절 바람의종 2009.03.03 8920
1436 울돌목 / 노들강변 바람의종 2009.03.03 6695
1435 싹쓸바람 바람의종 2009.03.03 70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