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03 16:36

덩어쇠

조회 수 6151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덩어쇠

사람이름

임진왜란 때 궁궐이 거의 불탔다. 광해군 때 많은 궁궐이 다시 지어졌다. 창덕궁이 폐위된 단종과 연산군이 있었던 곳이라 하여 광해군은 매우 꺼렸다. 이에 경복궁 서쪽 인왕산 아래에 새로이 궁궐을 지으니 바로 인경궁이다. 1622년, 광해군은 인경궁을 지은 도편수 ‘이덩손’(李加應孫)을 만났다. “종묘와 궁궐을 지을 때 공로가 많았는데 이제 보니 많이 늙었구려. 당상관으로 벼슬을 올리고 군직을 주도록 하겠소” 하였다.

‘덩’(加應)이 든 이름에 ‘덩이·덩기·덩뇽이·덩복이·덩어리·덩어쇠·덩쇠·덩이쇠·덩지·덩지쇠’도 있다. 크게 뭉쳐서 이루어진 것은 ‘덩어리’, 작게 뭉쳐서 이루어진 것은 ‘덩이’라 한다. 두 말은 ‘골칫덩어리/골칫덩이·심술덩어리/심술덩이’처럼 이를 때도 쓰인다. 오랑캐 사람이름에 ‘덩거리’가 있는데 ‘덩어리’의 고장말에 해당한다.

‘덩지’는 ‘덩이/덩어리’의 부피, ‘덩치’는 몸집을 이른다. 사람이름 ‘덩지’는 ‘덩치’ 뜻으로 쓰인 듯하고 ‘덩지쇠’는 덩치가 있었던 모양이다. ‘덩어쇠’(加應於金)는 ‘덩어리’와 ‘쇠’가 더해진 ‘덩얼쇠’에서 ‘ㅅ’ 앞에서 ‘ㄹ’이 떨어져 나간 결과다. 요즘 제련된 쇠는 긴 판을 만들어 코일(롤)로 판다. 삼국 때는 가운데가 잘록한 쇠판(=철정=판상철부=덩이쇠) 여러 개를 한 덩어리로 묶어 팔았다. ‘덩어쇠·덩쇠’는 덩이쇠와 비슷한 말인 듯하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7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2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210
2886 넘이·넘우 바람의종 2009.02.14 6266
2885 너더리 바람의종 2009.02.17 5929
2884 카디건 바람의종 2009.02.18 6695
2883 까마귀 바람의종 2009.02.19 7597
2882 니자테 너인테 바람의종 2009.02.20 6437
2881 교과서 바람의종 2009.02.20 5520
2880 무거리 바람의종 2009.02.21 6634
2879 악플 바람의종 2009.02.22 6752
2878 부엉이 바람의종 2009.03.01 6293
2877 돈놀이 바람의종 2009.03.01 7098
2876 왔수다! 바람의종 2009.03.03 5842
» 덩어쇠 바람의종 2009.03.03 6151
2874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404
2873 두루미 바람의종 2009.03.04 6502
2872 원-달러 바람의종 2009.03.08 7277
2871 허망헙디다 바람의종 2009.03.14 6811
2870 바우덕이 바람의종 2009.03.16 6706
2869 뽀록나다 바람의종 2009.03.17 8298
2868 바람의종 2009.03.18 5243
2867 옳은 말씀 바람의종 2009.03.18 7886
2866 모르지비! 바람의종 2009.03.23 6053
2865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2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