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21 09:32

무거리

조회 수 659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거리

사람이름

세종 25년(1443년), 개성부의 ‘묵디’(無叱知)는 사람을 죽였고, 전옥서의 기매는 남의 묘를 파헤쳐 옷을 훔쳤으니 모두 교수형에 처해야 한다고 형조에서 임금께 아뢰었다. 無叱知는 ‘뭇디/묵디’를 적으나 ‘묵지’(납을 끓여 만든 덩어리 따위)라는 말이 있으므로 ‘묵디’가 옳은 듯하다. 중종실록에는 ‘묵디금이’란 이름도 보인다.

곡식 따위를 빻아 체에 쳐서 가루를 내고 남은 것도 ‘묵지/무거리’라고도 한다. 담뱃대는 ‘물부리·설대·담배통’ 세 부분으로 나뉜다. 물부리는 고장 따라 ‘대묵지·무추리·물초리’라고도 한다. ‘무거리·무초리’도 사람이름에 보인다. ‘초리/추리’가 든 이름에 ‘너초리/너추리·늦초리·망추리·부초리·수초리·엇초리/엇추리·이초리/이추리’도 있다. ‘부출’(부초리)은 가구 네 귀퉁이에 세운 기둥, 뒷간 바닥에 까는 널빤지다.

사람이름을 살피면 ‘뒷간이’도 모자라 ‘부초리’까지 보인다. 옛사람들은 아이가 태어난 곳은 어디든 신성하게 여겼던 것일까? 이름으로 말미암은 ‘무거리’(왕따) 취급과 차별이 없는 사회라면 아무 문제도 되지 않았으리라. 이로 보면 전통사회는 무한 경쟁 사회와 썩 달랐던 것 같다. 옛말에서 문틀은 ‘문부출/문얼굴’, 목덜미는 ‘목부출’, ‘묵지/구년묵이’는 여러 해 묵은 것, 어떤 일에 오래 종사한 사람을 이르기도 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3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8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757
2028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19
2027 배워 주다 바람의종 2010.01.23 11278
2026 움추리다 / 움츠리다, 오무리다 / 오므리다, 수구리다 / 수그리다 바람의종 2010.01.23 15390
2025 핫어미와 핫아비 바람의종 2010.01.23 11738
2024 생략되는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1.23 9608
2023 -씩 바람의종 2010.01.23 9308
2022 봇물을 이루다 바람의종 2010.01.22 12082
2021 그만한 / 그만 한, 한걸음 / 한 걸음, 그만해야지 / 그만 해야지 바람의종 2010.01.22 11245
2020 그러잖아도는 동작, 그렇잖아도는 상태 바람의종 2010.01.22 10700
2019 미주알고주알 밑두리콧두리 바람의종 2010.01.22 9500
2018 아스팔트와 아부라 바람의종 2010.01.22 9870
2017 ‘암(수)캐’가 ‘암(수)개’로 바람의종 2010.01.22 9433
2016 천만에 말씀 바람의종 2010.01.20 9696
2015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371
2014 연결 어미 ‘-려’와 ‘-러’ 바람의종 2010.01.20 9032
2013 여부(與否) 바람의종 2010.01.20 8534
2012 제우 요것뿐이오! 바람의종 2010.01.20 11948
2011 말 비틀기(2) 바람의종 2010.01.20 8778
2010 찍찍이 바람의종 2010.01.19 9187
2009 '대'와 '선' 바람의종 2010.01.19 6494
2008 까지,조차,마저 바람의종 2010.01.19 7468
2007 잇따르다와 잇달다 바람의종 2010.01.19 94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