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21 09:32

무거리

조회 수 659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거리

사람이름

세종 25년(1443년), 개성부의 ‘묵디’(無叱知)는 사람을 죽였고, 전옥서의 기매는 남의 묘를 파헤쳐 옷을 훔쳤으니 모두 교수형에 처해야 한다고 형조에서 임금께 아뢰었다. 無叱知는 ‘뭇디/묵디’를 적으나 ‘묵지’(납을 끓여 만든 덩어리 따위)라는 말이 있으므로 ‘묵디’가 옳은 듯하다. 중종실록에는 ‘묵디금이’란 이름도 보인다.

곡식 따위를 빻아 체에 쳐서 가루를 내고 남은 것도 ‘묵지/무거리’라고도 한다. 담뱃대는 ‘물부리·설대·담배통’ 세 부분으로 나뉜다. 물부리는 고장 따라 ‘대묵지·무추리·물초리’라고도 한다. ‘무거리·무초리’도 사람이름에 보인다. ‘초리/추리’가 든 이름에 ‘너초리/너추리·늦초리·망추리·부초리·수초리·엇초리/엇추리·이초리/이추리’도 있다. ‘부출’(부초리)은 가구 네 귀퉁이에 세운 기둥, 뒷간 바닥에 까는 널빤지다.

사람이름을 살피면 ‘뒷간이’도 모자라 ‘부초리’까지 보인다. 옛사람들은 아이가 태어난 곳은 어디든 신성하게 여겼던 것일까? 이름으로 말미암은 ‘무거리’(왕따) 취급과 차별이 없는 사회라면 아무 문제도 되지 않았으리라. 이로 보면 전통사회는 무한 경쟁 사회와 썩 달랐던 것 같다. 옛말에서 문틀은 ‘문부출/문얼굴’, 목덜미는 ‘목부출’, ‘묵지/구년묵이’는 여러 해 묵은 것, 어떤 일에 오래 종사한 사람을 이르기도 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44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97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894
2028 장애, 장해 바람의종 2009.08.03 9430
2027 불쾌한 반응 바람의종 2012.06.20 9428
2026 지리하다 바람의종 2009.07.31 9425
2025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422
2024 너나 잘해 바람의종 2009.12.14 9421
2023 대장금②·신비 바람의종 2008.05.25 9412
2022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412
2021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0.03.07 9412
2020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10
2019 잡동사니 바람의종 2007.03.22 9408
2018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401
2017 쌈마이 바람의종 2009.12.14 9395
2016 미래를 나타내는 관형형 바람의종 2010.03.06 9394
2015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393
2014 주워섬기다 바람의종 2012.06.20 9391
2013 오음산과 오름 바람의종 2008.06.21 9386
2012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바람의종 2009.04.30 9382
2011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379
2010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378
2009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374
2008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371
2007 하영 먹어마씀! 바람의종 2009.09.06 93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