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21 09:32

무거리

조회 수 658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거리

사람이름

세종 25년(1443년), 개성부의 ‘묵디’(無叱知)는 사람을 죽였고, 전옥서의 기매는 남의 묘를 파헤쳐 옷을 훔쳤으니 모두 교수형에 처해야 한다고 형조에서 임금께 아뢰었다. 無叱知는 ‘뭇디/묵디’를 적으나 ‘묵지’(납을 끓여 만든 덩어리 따위)라는 말이 있으므로 ‘묵디’가 옳은 듯하다. 중종실록에는 ‘묵디금이’란 이름도 보인다.

곡식 따위를 빻아 체에 쳐서 가루를 내고 남은 것도 ‘묵지/무거리’라고도 한다. 담뱃대는 ‘물부리·설대·담배통’ 세 부분으로 나뉜다. 물부리는 고장 따라 ‘대묵지·무추리·물초리’라고도 한다. ‘무거리·무초리’도 사람이름에 보인다. ‘초리/추리’가 든 이름에 ‘너초리/너추리·늦초리·망추리·부초리·수초리·엇초리/엇추리·이초리/이추리’도 있다. ‘부출’(부초리)은 가구 네 귀퉁이에 세운 기둥, 뒷간 바닥에 까는 널빤지다.

사람이름을 살피면 ‘뒷간이’도 모자라 ‘부초리’까지 보인다. 옛사람들은 아이가 태어난 곳은 어디든 신성하게 여겼던 것일까? 이름으로 말미암은 ‘무거리’(왕따) 취급과 차별이 없는 사회라면 아무 문제도 되지 않았으리라. 이로 보면 전통사회는 무한 경쟁 사회와 썩 달랐던 것 같다. 옛말에서 문틀은 ‘문부출/문얼굴’, 목덜미는 ‘목부출’, ‘묵지/구년묵이’는 여러 해 묵은 것, 어떤 일에 오래 종사한 사람을 이르기도 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7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2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154
1434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22
1433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428
1432 수훈감 바람의종 2010.05.17 8230
1431 숙맥 바람의종 2010.05.30 9351
1430 숙맥 바람의종 2007.07.27 6562
1429 숙제 바람의종 2007.07.28 5034
1428 순직 風文 2022.02.01 1250
1427 숟가락 바람의종 2010.05.28 11925
1426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375
1425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65
1424 술이홀과 파주 바람의종 2008.04.22 7537
1423 숫구미 바람의종 2008.09.03 7806
1422 숫자의 속음들 바람의종 2010.08.06 8253
1421 숫컷, 숫소? 바람의종 2008.09.30 4879
1420 쉐보레 유감 바람의종 2011.10.25 10151
1419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10162
1418 쉼표 하나 바람의종 2010.07.12 8801
1417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461
1416 스끼다시 바람의종 2008.02.16 12663
1415 스스럼없다 風磬 2007.01.19 12902
1414 스스로를? 바람의종 2009.04.09 5914
1413 스크린 도어 바람의종 2010.03.02 89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