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21 09:32

무거리

조회 수 657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거리

사람이름

세종 25년(1443년), 개성부의 ‘묵디’(無叱知)는 사람을 죽였고, 전옥서의 기매는 남의 묘를 파헤쳐 옷을 훔쳤으니 모두 교수형에 처해야 한다고 형조에서 임금께 아뢰었다. 無叱知는 ‘뭇디/묵디’를 적으나 ‘묵지’(납을 끓여 만든 덩어리 따위)라는 말이 있으므로 ‘묵디’가 옳은 듯하다. 중종실록에는 ‘묵디금이’란 이름도 보인다.

곡식 따위를 빻아 체에 쳐서 가루를 내고 남은 것도 ‘묵지/무거리’라고도 한다. 담뱃대는 ‘물부리·설대·담배통’ 세 부분으로 나뉜다. 물부리는 고장 따라 ‘대묵지·무추리·물초리’라고도 한다. ‘무거리·무초리’도 사람이름에 보인다. ‘초리/추리’가 든 이름에 ‘너초리/너추리·늦초리·망추리·부초리·수초리·엇초리/엇추리·이초리/이추리’도 있다. ‘부출’(부초리)은 가구 네 귀퉁이에 세운 기둥, 뒷간 바닥에 까는 널빤지다.

사람이름을 살피면 ‘뒷간이’도 모자라 ‘부초리’까지 보인다. 옛사람들은 아이가 태어난 곳은 어디든 신성하게 여겼던 것일까? 이름으로 말미암은 ‘무거리’(왕따) 취급과 차별이 없는 사회라면 아무 문제도 되지 않았으리라. 이로 보면 전통사회는 무한 경쟁 사회와 썩 달랐던 것 같다. 옛말에서 문틀은 ‘문부출/문얼굴’, 목덜미는 ‘목부출’, ‘묵지/구년묵이’는 여러 해 묵은 것, 어떤 일에 오래 종사한 사람을 이르기도 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782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43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9238
2068 몰래 입국, 몰래 출국 바람의종 2010.04.19 12237
2067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279
2066 몸 달은 바람의종 2012.08.21 7011
2065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858
2064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937
2063 못미처, 못미쳐, 못 미처, 못 미쳐 바람의종 2010.10.18 21989
2062 못쓸 짓 바람의종 2010.03.14 9665
2061 못지않다, 못지 않다 / 마지않다, 마지 않다 바람의종 2009.03.25 16522
2060 못하다 바람의종 2010.03.18 10778
2059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436
2058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497
2057 뫼와 갓 바람의종 2008.01.02 7073
2056 묫자리 / 묏자리 바람의종 2012.08.20 12295
» 무거리 바람의종 2009.02.21 6573
2054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5689
2053 무꾸리 風磬 2006.11.26 7959
2052 무너미·목넘이 바람의종 2008.04.03 6589
2051 무녀리 바람의종 2010.04.18 11083
2050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8999
2049 무단시 왜 그리 쌓소! 바람의종 2010.01.28 7621
2048 무더위 바람의종 2009.02.17 6581
2047 무더위 바람의종 2009.08.29 59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