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21 09:32

무거리

조회 수 6615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거리

사람이름

세종 25년(1443년), 개성부의 ‘묵디’(無叱知)는 사람을 죽였고, 전옥서의 기매는 남의 묘를 파헤쳐 옷을 훔쳤으니 모두 교수형에 처해야 한다고 형조에서 임금께 아뢰었다. 無叱知는 ‘뭇디/묵디’를 적으나 ‘묵지’(납을 끓여 만든 덩어리 따위)라는 말이 있으므로 ‘묵디’가 옳은 듯하다. 중종실록에는 ‘묵디금이’란 이름도 보인다.

곡식 따위를 빻아 체에 쳐서 가루를 내고 남은 것도 ‘묵지/무거리’라고도 한다. 담뱃대는 ‘물부리·설대·담배통’ 세 부분으로 나뉜다. 물부리는 고장 따라 ‘대묵지·무추리·물초리’라고도 한다. ‘무거리·무초리’도 사람이름에 보인다. ‘초리/추리’가 든 이름에 ‘너초리/너추리·늦초리·망추리·부초리·수초리·엇초리/엇추리·이초리/이추리’도 있다. ‘부출’(부초리)은 가구 네 귀퉁이에 세운 기둥, 뒷간 바닥에 까는 널빤지다.

사람이름을 살피면 ‘뒷간이’도 모자라 ‘부초리’까지 보인다. 옛사람들은 아이가 태어난 곳은 어디든 신성하게 여겼던 것일까? 이름으로 말미암은 ‘무거리’(왕따) 취급과 차별이 없는 사회라면 아무 문제도 되지 않았으리라. 이로 보면 전통사회는 무한 경쟁 사회와 썩 달랐던 것 같다. 옛말에서 문틀은 ‘문부출/문얼굴’, 목덜미는 ‘목부출’, ‘묵지/구년묵이’는 여러 해 묵은 것, 어떤 일에 오래 종사한 사람을 이르기도 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7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4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312
2886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風文 2022.08.22 1274
2885 국민 바람의종 2008.11.23 4560
2884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481
2883 국민들 바람의종 2010.09.08 11732
2882 국방색 / 중동 風文 2020.06.24 2299
2881 국수 바람의종 2007.06.05 7470
2880 국어 영역 / 애정 행각 風文 2020.06.15 1685
2879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351
2878 국어의 품사 1 바람의종 2009.12.14 15009
2877 국으로 바람의종 2010.11.25 10967
2876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383
2875 군불을 떼다 바람의종 2007.12.28 12907
2874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336
2873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913
2872 굳은 살이 - 박혔다, 박였다, 배겼다 바람의종 2009.07.28 8878
2871 굴뚝새 바람의종 2009.07.08 6084
2870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727
2869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10.05.18 11527
2868 굴지 바람의종 2007.06.05 6972
2867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바람의종 2008.10.17 7958
2866 굼때다 바람의종 2008.07.05 6939
2865 굽신거리다 바람의종 2008.10.22 68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