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21 09:32

무거리

조회 수 663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거리

사람이름

세종 25년(1443년), 개성부의 ‘묵디’(無叱知)는 사람을 죽였고, 전옥서의 기매는 남의 묘를 파헤쳐 옷을 훔쳤으니 모두 교수형에 처해야 한다고 형조에서 임금께 아뢰었다. 無叱知는 ‘뭇디/묵디’를 적으나 ‘묵지’(납을 끓여 만든 덩어리 따위)라는 말이 있으므로 ‘묵디’가 옳은 듯하다. 중종실록에는 ‘묵디금이’란 이름도 보인다.

곡식 따위를 빻아 체에 쳐서 가루를 내고 남은 것도 ‘묵지/무거리’라고도 한다. 담뱃대는 ‘물부리·설대·담배통’ 세 부분으로 나뉜다. 물부리는 고장 따라 ‘대묵지·무추리·물초리’라고도 한다. ‘무거리·무초리’도 사람이름에 보인다. ‘초리/추리’가 든 이름에 ‘너초리/너추리·늦초리·망추리·부초리·수초리·엇초리/엇추리·이초리/이추리’도 있다. ‘부출’(부초리)은 가구 네 귀퉁이에 세운 기둥, 뒷간 바닥에 까는 널빤지다.

사람이름을 살피면 ‘뒷간이’도 모자라 ‘부초리’까지 보인다. 옛사람들은 아이가 태어난 곳은 어디든 신성하게 여겼던 것일까? 이름으로 말미암은 ‘무거리’(왕따) 취급과 차별이 없는 사회라면 아무 문제도 되지 않았으리라. 이로 보면 전통사회는 무한 경쟁 사회와 썩 달랐던 것 같다. 옛말에서 문틀은 ‘문부출/문얼굴’, 목덜미는 ‘목부출’, ‘묵지/구년묵이’는 여러 해 묵은 것, 어떤 일에 오래 종사한 사람을 이르기도 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69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2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145
2886 시치미를 떼다 바람의종 2008.01.18 10703
2885 신물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18 17523
2884 압록강과 마자수 바람의종 2008.01.18 7020
2883 성별 문법 바람의종 2008.01.18 7061
2882 윽박 바람의종 2008.01.18 10440
2881 심금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9 13223
2880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59
2879 말과 글 바람의종 2008.01.19 4265
2878 며느리밥풀 바람의종 2008.01.19 6125
2877 안시성과 아골관 바람의종 2008.01.19 6856
2876 씨가 먹히다 바람의종 2008.01.20 8546
2875 씨알머리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0 8022
2874 말차례 바람의종 2008.01.20 488941
2873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493
2872 달맞이꽃 바람의종 2008.01.20 6499
2871 아닌 밤중에 홍두깨 바람의종 2008.01.21 11764
2870 아퀴를 짓다 바람의종 2008.01.21 13357
2869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890
2868 악머구리 끓듯 한다 바람의종 2008.01.22 10152
2867 안절부절 못하다 바람의종 2008.01.22 7357
2866 인사말 바람의종 2008.01.22 9047
2865 소젖 바람의종 2008.01.22 65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