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21 09:32

무거리

조회 수 6601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거리

사람이름

세종 25년(1443년), 개성부의 ‘묵디’(無叱知)는 사람을 죽였고, 전옥서의 기매는 남의 묘를 파헤쳐 옷을 훔쳤으니 모두 교수형에 처해야 한다고 형조에서 임금께 아뢰었다. 無叱知는 ‘뭇디/묵디’를 적으나 ‘묵지’(납을 끓여 만든 덩어리 따위)라는 말이 있으므로 ‘묵디’가 옳은 듯하다. 중종실록에는 ‘묵디금이’란 이름도 보인다.

곡식 따위를 빻아 체에 쳐서 가루를 내고 남은 것도 ‘묵지/무거리’라고도 한다. 담뱃대는 ‘물부리·설대·담배통’ 세 부분으로 나뉜다. 물부리는 고장 따라 ‘대묵지·무추리·물초리’라고도 한다. ‘무거리·무초리’도 사람이름에 보인다. ‘초리/추리’가 든 이름에 ‘너초리/너추리·늦초리·망추리·부초리·수초리·엇초리/엇추리·이초리/이추리’도 있다. ‘부출’(부초리)은 가구 네 귀퉁이에 세운 기둥, 뒷간 바닥에 까는 널빤지다.

사람이름을 살피면 ‘뒷간이’도 모자라 ‘부초리’까지 보인다. 옛사람들은 아이가 태어난 곳은 어디든 신성하게 여겼던 것일까? 이름으로 말미암은 ‘무거리’(왕따) 취급과 차별이 없는 사회라면 아무 문제도 되지 않았으리라. 이로 보면 전통사회는 무한 경쟁 사회와 썩 달랐던 것 같다. 옛말에서 문틀은 ‘문부출/문얼굴’, 목덜미는 ‘목부출’, ‘묵지/구년묵이’는 여러 해 묵은 것, 어떤 일에 오래 종사한 사람을 이르기도 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8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0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188
2072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6941
2071 몬뜰래기 벗곡! 바람의종 2010.04.02 11739
2070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152
2069 몰래 입국, 몰래 출국 바람의종 2010.04.19 12272
2068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04
2067 몸 달은 바람의종 2012.08.21 7068
2066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891
2065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281
2064 못미처, 못미쳐, 못 미처, 못 미쳐 바람의종 2010.10.18 22078
2063 못쓸 짓 바람의종 2010.03.14 9693
2062 못지않다, 못지 않다 / 마지않다, 마지 않다 바람의종 2009.03.25 16624
2061 못하다 바람의종 2010.03.18 10786
2060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658
2059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36
2058 뫼와 갓 바람의종 2008.01.02 7268
2057 묫자리 / 묏자리 바람의종 2012.08.20 12359
» 무거리 바람의종 2009.02.21 6601
2055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5895
2054 무꾸리 風磬 2006.11.26 8065
2053 무너미·목넘이 바람의종 2008.04.03 6769
2052 무녀리 바람의종 2010.04.18 11109
2051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