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19 10:11

까마귀

조회 수 7597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까마귀

짐승이름

신라 아달라왕 4년, 연오랑과 세오녀는 동해 바닷가에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연오는 바위를 타고 일본으로 건너가 임금이 된다. 기다려도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찾아간 세오녀는 연오가 벗어놓고 간 신발을 보고 그 바위에 오르니 그를 태운 바위는 일본으로 건너간다. 세오녀는 왕비가 된다.

이 무렵 신라에는 해와 달이 빛을 잃어 세상이 깜깜해진다. 임금은 사람을 시켜 일본으로 건너가 두 사람을 오라고 한다. 그러나 연오는 하늘 뜻을 따라서 와 임금이 되었으니 돌아갈 수가 없다고 답한다. 그 대신에 해와 달의 정기를 모아 세오가 짠 비단을 내주며 돌아가 이 비단을 제물 삼아 제단을 모으고 제사를 올리라고 이른다. 그대로 하였더니 해와 달이 빛을 되찾았다. 오늘날에도 영일의 석동 일월지(日月池)는 제사를 올렸던 곳.

옛말로 까마귀는 ‘가마괴’(능엄경언해)였다. ‘가마괴-가마귀-까마귀’로 바뀌어 쓰였음을 알 수 있다. 가마괴의 ‘-괴’를 ‘고이-고리’로 보아 ‘고리’를 새로 풀기도 한다. 그러나 -접미사 ‘이’가 붙어 된 짐승이나 새 이름이 많음을 고려하면, ‘가막’에 ‘-위’(이)가 붙어 만들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까마귀는 검다. 일본에서는 까마귀를 ‘가라스’라 이른다. 여기 ‘가라-구로’는 검은색을, ‘-스’는 새의 변이형으로 보는 풀이가 있다. 우리에게 까마귀는 별로지만 일본에서는 길조라 여긴다. 겉으론 웃으면서 속 검은 건 어인 일.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2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8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673
» 까마귀 바람의종 2009.02.19 7597
553 카디건 바람의종 2009.02.18 6686
552 너더리 바람의종 2009.02.17 5925
551 넘이·넘우 바람의종 2009.02.14 6266
550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573
549 기러기 바람의종 2009.02.10 6744
548 그룹사운드 바람의종 2009.02.08 6903
547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120
546 날마닥, 날마당 바람의종 2009.02.05 6532
545 세금 폭탄 바람의종 2009.02.04 5542
544 오리 바람의종 2009.02.03 6624
543 빵꾸 바람의종 2009.02.02 8723
542 오장이 바람의종 2008.12.28 7289
541 니서껀 내서껀 바람의종 2008.12.27 6953
540 법대로 바람의종 2008.12.26 5493
539 사자 바람의종 2008.12.26 5833
538 ‘자꾸’와 ‘지퍼’ 바람의종 2008.12.18 8196
537 보로미 바람의종 2008.12.18 7159
536 별명 바람의종 2008.12.17 6545
535 두더지 바람의종 2008.12.15 6420
534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901
533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