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18 10:40

카디건

조회 수 670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카디건

외래어

하늘 높고 말이 살찐다는 가을이 완연하다. 책읽기에다 운동이나 휴식하기도 좋은 철이다. 아침저녁으로 바람이 차져 장롱에 걸어 둔 긴소매 옷을 하나둘 꺼내 입게 된다. 머잖아 눈발 날리는 겨울이, 또 봄, 여름, 가을이 스쳐갈 터이다.

가을에 제격인 옷으로 ‘카디건’(cardigan)이 있다. 털로 짠 얇은 겉옷의 하나로, 앞자락이 트여 단추로 채우게 돼 있어 가을 날씨와 분위기에 어울린다. ‘카디건’을 우리는 ‘가디간’ 또는 ‘가디건’으로 일컫는데, 아마도 일본식 발음 ‘가디간’(カ―ディガン)을 받아들인 결과로 보인다.

‘카디건’(cardigan)은 본디 ‘샌드위치’(sandwich)처럼 서양 사람의 이름이었다. 1853년 제정 러시아가 흑해로 진출하고자 터키·영국·프랑스·사르디니아 연합군과 벌인 크림 전쟁 당시 이 옷을 고안하고 즐겨 입은 영국의 카디건 백작(Earl of Cardigan)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재빨리 입고 벗을 수 있고, 걸치면 따뜻하기도 해서 카디건은 매우 빠른 속도로 퍼졌다고 한다. 목숨이 위태로운 전쟁터에서 실용적이지 않으면 쓸모가 없기에 그랬을 것이다.

군용으로 개발된 물품이지만 지금 카디건은 군인이 입지 않는 대신 인기 있는 패션 상품이 되었다. 크림 전쟁 당시에 이럴 것을 미리 알았을까. 이처럼 세상에는 미리 알 수 없는 것이 많은데, 그렇지 않다면 사는 재미는 매우 줄어들 것 같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1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8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561
3106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7165
3105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644
3104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1181
3103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559
3102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81
3101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886
3100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66
3099 강술 바람의종 2010.06.08 9633
3098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348
3097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736
3096 바람의종 2008.09.19 7478
3095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6369
3094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722
3093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6103
3092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819
3091 개나발 바람의종 2008.02.21 10264
3090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557
3089 개떡같다 바람의종 2008.02.21 10808
3088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76
3087 개미티 file 바람의종 2009.09.27 6229
3086 개발과 계발 바람의종 2010.11.03 12108
3085 개밥바라기 바람의종 2010.01.15 82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