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17 04:33

너더리

조회 수 591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너더리

사람이름

정조가 즉위하던 해(1776년) 역모가 있었다. 이태 뒤 평안감사는 역적들의 식솔들이 어찌하고 있는지 보고하였다. “홍상격의 아내 ‘증매’는 양덕, 그의 종 ‘너더리’(汝加里=여가리)는 덕천, 홍찬해의 아내 ‘복조’는 맹산, 아들 ‘금년생’은 영원에 있습니다. 네 고을은 서로 가까워 반나절 또는 한나절이면 서로 오갈 수 있으므로 화근의 싹을 키울까 미리미리 빈틈없이 살펴 반드시 그런 일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汝(너 여)는 대개 ‘너’를 적는다. 사람이름 ‘너구리·너초리·너출이·너히·넘이’에 이 글자가 쓰였다. 加(더할 가)는 ‘더·가’를 적음을 볼 때 汝加里는 ‘너더리’임이 분명하다. 汝加里는 ‘여더리·여가리·너가리’로도 읽히며 낱낱 ‘여덟’과 고장말 ‘가장자리·널/넋’에 해당된다.

산비탈에는 바위가 갈라진 각진 돌이 널브러져 쌓이는데 이를 ‘너덜겅/덜컹/서드리’ 또는 줄여 ‘너덜’이라고 부른다. 강이나 개울에 쌓인 퇴적물이 흐르는 물에 모래나 진흙이 쓸려 자갈무지만 남은 것을 ‘서덜/돌서덜’이라 한다. 뿌리 깊은 바위가 삐죽삐죽 나온 것이 ‘너설/바위너설’이며 지질학에서는 ‘노두’(露頭)라 한다. 바위가 너덜너덜해져 쌓인 너덜, 그런 곳을 지날 땐 덜컹거리는 걸까? 산속에서 길 잘못 들어 만나는 된비알에 너덜겅, ‘넌더리’나게 무릎 아플 일만 기다린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39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9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878
554 까마귀 바람의종 2009.02.19 7562
553 카디건 바람의종 2009.02.18 6652
» 너더리 바람의종 2009.02.17 5917
551 넘이·넘우 바람의종 2009.02.14 6266
550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508
549 기러기 바람의종 2009.02.10 6742
548 그룹사운드 바람의종 2009.02.08 6880
547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8921
546 날마닥, 날마당 바람의종 2009.02.05 6520
545 세금 폭탄 바람의종 2009.02.04 5518
544 오리 바람의종 2009.02.03 6597
543 빵꾸 바람의종 2009.02.02 8688
542 오장이 바람의종 2008.12.28 7270
541 니서껀 내서껀 바람의종 2008.12.27 6950
540 법대로 바람의종 2008.12.26 5472
539 사자 바람의종 2008.12.26 5791
538 ‘자꾸’와 ‘지퍼’ 바람의종 2008.12.18 8085
537 보로미 바람의종 2008.12.18 7149
536 별명 바람의종 2008.12.17 6512
535 두더지 바람의종 2008.12.15 6401
534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808
533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