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더리

by 바람의종 posted Feb 17,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너더리

사람이름

정조가 즉위하던 해(1776년) 역모가 있었다. 이태 뒤 평안감사는 역적들의 식솔들이 어찌하고 있는지 보고하였다. “홍상격의 아내 ‘증매’는 양덕, 그의 종 ‘너더리’(汝加里=여가리)는 덕천, 홍찬해의 아내 ‘복조’는 맹산, 아들 ‘금년생’은 영원에 있습니다. 네 고을은 서로 가까워 반나절 또는 한나절이면 서로 오갈 수 있으므로 화근의 싹을 키울까 미리미리 빈틈없이 살펴 반드시 그런 일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汝(너 여)는 대개 ‘너’를 적는다. 사람이름 ‘너구리·너초리·너출이·너히·넘이’에 이 글자가 쓰였다. 加(더할 가)는 ‘더·가’를 적음을 볼 때 汝加里는 ‘너더리’임이 분명하다. 汝加里는 ‘여더리·여가리·너가리’로도 읽히며 낱낱 ‘여덟’과 고장말 ‘가장자리·널/넋’에 해당된다.

산비탈에는 바위가 갈라진 각진 돌이 널브러져 쌓이는데 이를 ‘너덜겅/덜컹/서드리’ 또는 줄여 ‘너덜’이라고 부른다. 강이나 개울에 쌓인 퇴적물이 흐르는 물에 모래나 진흙이 쓸려 자갈무지만 남은 것을 ‘서덜/돌서덜’이라 한다. 뿌리 깊은 바위가 삐죽삐죽 나온 것이 ‘너설/바위너설’이며 지질학에서는 ‘노두’(露頭)라 한다. 바위가 너덜너덜해져 쌓인 너덜, 그런 곳을 지날 땐 덜컹거리는 걸까? 산속에서 길 잘못 들어 만나는 된비알에 너덜겅, ‘넌더리’나게 무릎 아플 일만 기다린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